국제 국제일반

우울증 유발 유전자 발견… 새 치료제 개발 '청신호'

우울증을 유발ㆍ촉진하는 유전자가 발견돼 새로운 치료제, 특히 기존의 약이 듣지 않는 40%의 환자를 치료할 수도 있는 항우울제 개발의 길이 열렸다고 사이언스데일리가 17일 보도했다. 미국 예일대학 로널드 듀먼(Ronald S. Duman) 정신의학ㆍ약리학 교수는 영국의 의학전문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사망한 우울증 환자 21명과 우울증 병력이 없었던 사람 18명의 뇌조직 게놈을 스캔한 결과 우울증 환자의 뇌조직에서는 MKP-1 유전자의 발현이 일반인보다 2배나 왕성했다. 듀먼 박사에 따르면, 쥐의 MKP-1 유전자를 녹아웃(knock-outㆍ특정 유전자가 결실되게 하거나 변이 유전자로 바꿔 유전자가 작용하지 않게 하는 것)시키면 스트레스에 탄력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이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면 우울증과 비슷한 증상을 보였다. 듀먼 박사는 “MKP-1 유전자가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뉴런(자극을 받으면 전기를 발생시켜 다른 세포와 정보를 주고받는 신경세포체와 돌기)의 생존ㆍ기능에 중요한 분자 경로(molecular pathway)가 차단ㆍ손상돼 우울증, 다른 신경계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며 “따라서 이 유전자의 과도한 활성화가 우울증의 1차적 원인이거나 최소한 우울증을 촉진하는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경우 우울증 발생률이 연간 16%에 이르고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1,000억 달러나 되지만 아직 정확한 병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우울증 증상과 항우울제의 효과는 환자마다 차이가 있으며 치료효과가 나타나는데 몇 주~몇 달씩 걸린다. 기존의 어떤 항우울제도 듣지 않는 환자도 40%에 이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