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지배구조 개선에 앞장서는 SK

SK그룹이 계열사의 독립경영 체제를 강화하고 비상장사에도 사외이사를 두기로 하는 등 지배구조 개선과 경영 투명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SK는 지난주 말 계열사 사장단이 참석한 세미나에서 그룹 운영체제를 이사회 중심의 독립경영 체제로 가고, 사외이사의 비율을 올해 50%, 내년 말까지 60%로 지속적으로 늘려나가는 한편 비상장사에도 올해 말까지 이사회의 30%를 사외이사로 채우기로 결정했다. 비상장사에도 사외이사를 의무화한 것은 대그룹 중에서는 SK가 처음으로 투명경영에 가속도를 붙이겠다는 의지로 평가된다. SK는 경영투명성의 중요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투명하지 못한 회계로 그룹이 위기에 처했었고 그것이 계기가 돼 각고의 투명경영 노력으로 위기에서 벗어나 재도약의 기반을 다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알려진 대로 SK가 외국계 자본으로부터 경영권 위협을 받은 것도, 이를 뿌리칠 수 있었던 것도 투명경영과 큰 관계가 있다. SK는 그동안 경영 투명성 제고를 위해 강도 높은 조치를 취해왔다. 많은 기업에서 사외이사제가 거수기 역할에 그치고 있는 것과는 달리 SK는 최고의사 결정기구로서 본래의 취지에 맞게 제대로 운영해온 것이 한 사례다. 이런 노력의 결과 이제는 외국인 투자가들까지 SK의 경영 투명성을 인정할 정도에 이르렀다. SK㈜의 경영은 최태원 회장이 아니라 이사회가 하고 있다며 SK 이사회의 독립성과 영향력은 한국 최고수준이라는 외국계 투자회사의 평가가 이를 뒷받침해준다. 투명경영은 이제 기업들에 거스를 수 없는 과제가 됐다. 외국인 투자가들의 압력 때문 만이 아니라 집단소송제 시행 등으로 기업의 사활을 결정짓는 요소가 된 것이다. 국내 기업들이 그동안 경영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만족할 수준은 아니다. SK의 계열사별 독립경영체제, 비상장사 사외이사 의무화 조치 등이 다른 기업들에도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