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세월호 참사] 정지선 범칙금 6만원… 서울역 바닥 붕괴 …

불안심리 부채질하는 루머 난무

세월호 정보 제대로 전달 안돼

SNS·온라인서 불신 조장 늘어

성숙된 시민의식·처벌강화 필요

"오늘부터 횡단보도 정지선을 넘기면 6만원 범칙금입니다. 경찰 5,000명이 투입돼 집중 단속을 한다고 합니다. 주변 사람들에게도 알려주세요."

지난 27일부터 이런 내용의 메시지가 모바일메신저 '카카오톡'을 통해 대량으로 유포됐다. 하지만 사실이 아니었다. 경찰청은 "현재 정지선 위반 단속은 평소 수준으로 하고 있을 뿐 5,000명 투입은 잘못된 정보로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지난 20일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서울역 바닥 붕괴…서울역 지반이 내려앉았음'이라는 내용의 글이 확산됐다. 시민들의 우려가 커지자 철도시설공단은 서둘러 사실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철도시설공단은 "현재 침하 등 이상징후가 발견된 사실이 없고 안전에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세월호 침몰사고로 국민들이 안전사고에 민감해지자 안전과 관련된 각종 루머들이 난무하고 있다. 근거 없는 루머들이 SNS와 온라인 공간을 돌아다니면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불신을 조장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루머 유포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전문가 집단이 불확실한 정보를 거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관련기사



근거 없는 루머가 활개치는 이유는 세월호 침몰사고와 관련해 답답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세월호 침몰과 관련해 국민들의 신뢰를 완전히 잃었다. 처음에 탑승자 전원이 구출됐다는 잘못된 정보를 전달한 데 이어 탑승자 숫자와 관련해 해양경찰청·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의 설명이 오락가락했다.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한 사건에 대해 정확한 사실을 전달해야 할 정부가 제 역할을 못 하면서 루머가 힘을 얻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회의 불안심리가 극도로 커진 점도 루머의 확산을 키웠다. 세월호 침몰사고와 관련해 정부의 초기대처가 미흡해 대규모 희생이 발생하자 시민들이 안전 문제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불안한 사회에서는 정보 습득에 강한 사람이 생존하기 때문에 허황된 소문이라도 더 빨리 확산되고 더 추종하게 된다"며 "자기과시욕과 쾌감으로 근거 없는 루머를 만드는 불량 네티즌과 불안한 대중, 명확한 정보 제공에 실패한 정부의 합작품"이라고 설명했다.

거짓 루머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이 거짓정보를 거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할 것으로 평가된다. 2001년 미국에서 9·11 테러가 발생하자 미국 시민사회도 극도의 불안감을 경험했다. 9·11 테러 당시 화염에 휩싸인 월드트레이드센터(WTC)에서 악마의 얼굴이 보인다는 등의 루머가 확산되면서 미국 시민들도 심각한 정서불안을 겪었다. 곽 교수는 "미국에서는 전문가들이 루머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명하면서 필터링이 가능한데 우리나라는 루머의 확산 속도가 극히 빠르고 전문가 집단이 침묵하는 경우가 많다"며 "온라인에서 전문가 집단이 루머를 검증하는 형태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성숙된 시민의식과 최초 유포자에 대한 처벌 강화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곽 교수는 "세월호 사건으로 자원봉사와 추모에 나서는 국민이 많은데 루머를 유포하지 않는 것도 일종의 추모행위로 볼 수 있다"며 "또 최초 유포자는 다수의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리고 사회 불신을 조장하는 막대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지금보다 처벌 수위가 더 높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