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北 6자회담 거부시 안보리 회부 협의"

국무부 "영변 상황 면밀히 추적"

"美, 北 6자회담 거부시 안보리 회부 협의" 국무부 "영변 상황 면밀히 추적" • "북핵 안보리 회부 한미간 협의한 바 없어" 미국은 18일(현지시간) 북한의 영변 원자로가동 중단 등과 관련, 북한이 6자회담에 무조건 복귀하는 것 외에 어떤 행동이나 말을 해도 북한이 원하는 해법이 될 수 없다고 거듭 강조하고 북한이 끝내 복귀하지않을 경우 유엔 안보리 회부 등 다른 조치를 추진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지 부시 대통령의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 방문을 수행중인 스콧 맥클렐런 백악관 대변인은 "북한의 도발적인 말과 행동은 고립을 심화시킬 뿐"이라며 "북한이 6자회담 복귀를 거부할 경우 우리는 틀림없이 다른 나라들과 함께 다음 조치를 협의하게 될 것이며 안보리 회부도 그 조치중 하나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칼 로브 백악관 부비서실장은 CNN과 인터뷰에서 "북한이 자기네 이웃들의 말에 귀기울이지 않으면 더 큰 세계의 견해를 듣게 될 것"이라고 역시 안보리 회부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특히 시한 여부에 대한 질문에 "이런 문제는 러시아, 중국, 한국, 일본 등과 긴밀히 논의할 문제이나, 진행형인 것으로 듣고 있다"고 말하고 "무엇을 언제 할것인가는 정책수립가들에게 맡겨두자"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같은 말들에 앞서 "우리는 여전히 6자회담이 상황을 풀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고 전제를 달았다. 이날 리처드 바우처 국무부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원자로를 가동하든 않든, 연료봉을 재처리하든 않든 북한이 처한 난국의 해법을 북한측에 안겨주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이 희구하는 자신들에 대한 존경이나 북한이 필요로 하는 원조를 얻는 유일한 길은 6자회담 복귀"라고 못박았다. 바우처 대변인은 이어 "다시 말하지만, 최근 북한에서 나오고 있는 뭘 하고 있고 뭘 하지 않고 있다는 등의 말이나 방북자들에게 하는 말들은, 북한이 진정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길이 회담 복귀에 있음을 상기시켜주는 것들일 뿐"이라고 역설했다. 영변 원자로 가동 중단 문제에 대해 바우처 대변인은 "북한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자세히 말할 수는 없지만, 영변 상황 전개를 매우 면밀히 추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의 북핵 해결 주도적 역할 입장에 대해 바우처 대변인은 6자회담 당사국들은 "저마다 상이하지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한국이 어떤 분야에서다른 나라 보다 더 앞서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우리 모두는 매우 긴밀히 조율하고있다"고 말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윤동영 특파원 입력시간 : 2005-04-19 13:4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