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CJ, 파격 베팅 대한통운 품었다

주당 20만원 제시<br>포스코·삼성 제치고<br>우선협상자로 선정

CJ그룹이 포스코-삼성SDS 컨소시엄을 제치고 대한통운 우선협상자로 확정됐다. 대한통운 매각주관사를 맡은 산업은행과 CJ그룹에 따르면 28일 대한통운 인수 우선협상자로 월등한 가격을 적어낸 CJ그룹이 선정됐다. CJ그룹은 당초 예상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해 비가격 채점에서 근소한 차이로 앞섰던 포스코-삼성SDS 컨소시엄을 종합평가에서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협상 대상자 결정에서 인수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75%에 달한다. CJ그룹은 대한통운 주식을 아시아나항공과 대우건설 보유지분에 이어 재무적투자자(FI) 지분까지 포함해 주당 20만원 이상에 사겠다고 제안했다. 관련업계에서는 그간 CJ그룹이 주당 18만원 안팎 정도 제시할 것으로 전망해왔다. 또 그 정도 가격을 적정수준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CJ그룹은 업계의 이런 예측치보다 주당 2만원 이상 높은 가격을 써내 승자가 됐다. 포스코-삼성SDS 컨소시엄 역시 예상보다 높은 주당 19만원대의 가격을 제출하며 인수의지를 불태웠다. 하지만 가격에서 CJ그룹에 근소하게 뒤져 인수에 실패했다. CJ그룹은 가격 이외에 인수할 주식에 대해서도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했다. CJ그룹은 아시아나와 대우건설이 보유한 최소매각 대상 주식 37.6%(858만1,444주) 외에 우정사업본부 등 칸서스유한회사를 제외한 주요 FI들이 가진 지분까지 인수하겠다는 조건을 제시했다. 이를 모두 인수할 경우 CJ는 대한통운 지분을 45%까지 보유하게 된다. 45%를 인수하게 되면 CJ그룹이 부담해야 할 인수가격은 2조500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CJ그룹의 대한통운 인수주체는 CJ제일제당과 CJ GLS 2개 계열사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현금성 자산이 많지 않은 CJ그룹이 2조원가량의 인수대금을 어떻게 확보할지 등에 대한 우려감도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