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2002년 이후 강남 매매-전세 상승률差 34배

분당·용인·과천도 거래 급감속 호가 상승 뚜렷…건교부 "추격매수 위험하다"

최근 집값이 급등한 서울 강남과 분당, 용인, 과천 등에서의 아파트 추격 매수는 위험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5일 건설교통부가 과거 아파트 거래량과 가격의 상승추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따르면 최근 강남지역에서의 매매가 상승률은 전세값 오름세와 34.12배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강남지역은 80년대 후반과 2000년 초 전세가격 상승률이 매매가를 크게 상회했다. 87-93년의 누적 상승률을 보면 매매는 81.2%, 전세는 145.1%였고 99-2001년은매매 42.9%, 전세 76.4%였다. 반면 2002년부터 올해 6월까지의 상승률은 매매 54.6%, 전세 1.6%로 매매가 상승률이 전세가 상승률의 무려 34배에 달했고 이에따라 전세 대비 매매가 비율은 2001년 59.8%에서 지난달 42.2%로 17.6%포인트 떨어졌다. 건교부 관계자는 "현재 강남의 아파트 수익률은 1% 내외에 그쳐 집을 사서 전세를 놓으면 안전적인 임대료 수입과 시세차익 기대가 가능했던 과거와는 다른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거래량도 2002-2003년 월평균 1천500건에 이르렀지만 올해는 이보다 67% 줄어든500건 수준에 그쳐 최근의 강남 집값 상승이 실거래는 미미한 가운데 호가위주로 단기 급등했음을 알 수 있다. 분당과 용인, 과천의 경우도 월 평균 거래량은 2002-2003년 6천건보다 17% 줄어든 5천건에 그쳤으며 특히 분당은 1천300건에서 241건으로 81% 감소했다. 건교부는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한 최근의 집값 상승은 전세가격 변동 없이 호가 위주로 단기급등했다"며 "집값 상승 기대반전의 계기가 주어질 경우 언제든지 급락할 수 있어 추격매수는 위험하다"고 충고했다. (서울=연합뉴스) 유경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