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기술수준 中과 4.5년 격차"

KIET 이문형박사중국으로의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섬유 및 신발소재와 원부자재 중심인 현재의 수출구조를 정보기술(IT) 관련 제조업과 중고위기술산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우리는 기술수준에서 중국에 평균 4.5년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문형 산업연구원(KIET) 박사는 25일 천안 상록리조트에서 열린 산업발전심의회에서 '한중 산업협력 확대방안'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박사는 "중국은 대부분 개도국에서 볼 수 있듯이 단계적인 성장을 하는 게 아니라 기술집약산업과 첨단기술산업으로의 산업구조 고도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면서 "실제로 최근 5년간 전자ㆍ기계ㆍ석유 등은 비중이 높아진 반면 섬유 같은 저위기술산업은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의 산업구조는 IT제조업의 경우 지난 95년 비중이 5.2%에 불과했지만 2000년에는 10.2%로 상승한 반면 섬유 같은 저위기술은 34.0%에서 28.6%로 떨어졌다고 이 박사는 지적했다. 한편 9월 전국 5,0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중 산업기술격차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평균적으로 한국의 기술수준이 중국에 4.5년 앞선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으로는 우리가 5~6년 앞선다는 응답이 31.3%로 가장 많았고 이어 3~4년(28.1%), 1~2년(12.0%), 9년 이상(11.0%), 7~8년(10.8%) 등의 순으로 나타났지만 중국에 뒤지거나 대등하다는 응답도 6.7%나 됐다. 이병관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