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초·중·고교등 77% 석면에 노출

서울시교육청 전수조사…77.2% 석면의심물질 발견<br>교육청 “연차적 철거…비용 지원”

서울 시내 유치원 및 초중고교 10곳 중 7곳 이상에서 석면 함유가 의심되는 시설이 발견돼 각별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09년 12월 시교육청이 서울 시내 전체 유초중고 2,163곳을 전수 조사한 결과 77.2%(1,669개교)의 내부 시설이 석면 함유가 의심되는 자재로 지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석면은 1급 발암물질로 2009년 1월부터 석면이 0.1% 이상 함유된 모든 종류의 제품은 제조와 수입,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그러나 이전에 지어진 건축물의 경우 상당수가 내부 마감재 등으로 석면 함유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건물 훼손이나 낙후로 석면물질이 공기 중에 흩어질 경우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다. 시교육청의 2009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훼손부위가 공간 면적의 10% 이상인 1등급은 0곳, 10% 미만은 2등급은 71개교, 시각적으로 훼손이 없거나 미미하지만 안전한 시설 유지 및 관리가 필요한 3등급은 1,599곳으로 나타났다. 시교육청은 “조사 직후 2등급에 속한 71개교의 훼손 공간은 모두 3등급으로 개ㆍ보수됐고, 매년 실시하는 공기 질 측정 결과 석면 물질이 검출된 적은 한번도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 점검이 정밀 조사가 아닌, 석면관리 교육을 받은 학교시설 담당자들이 육안으로 훼손 정도를 판단한 것이라 학교 현장의 석면 실태조사를 반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석면 의심 시설의 79.7%는 교실이나 교무실 등 학생과 교원의 접근성이 높은 곳으로 나타나 관리만 잘 되면 비교적 양호하다는 3등급이라도 위험 노출도는 언제든지 급변할 수 있다. 석면 의심 건축재가 쓰인 장소는 천장(89.4%)이 가장 많았고 칸막이(8.9%), 바닥(1.1%), 벽면(0.1%) 등 순이었다. 시교육청은 “향후 문제가 되는 시설을 연차적으로 철거하고 철거 및 교체 비용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어 “교과부 차원에서도 석면(의심물질) 자재의 해체ㆍ제거를 위한 재원확보방안 및 연차별 로드맵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