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아시아 채권시장 초강세

글로벌 유동성 아시아 채권시장으로 몰리면서 채권금리 급락

글로벌 유동성이 아시아로 몰려들면서 각국의 채권시장이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자금 유입으로 채권 공급에 비해 수요가 급증하면서 금리가 연일 폭락하고 있는 것. 특히 우리나라의 국고채 20년물은 이틀 사이 무려 0.21%포인트나 떨어졌다. ★관련기사 4면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외국인들의 채권매수가 급증하면서 국내시장에서 채권금리가 크게 떨어졌다. 국고채 20년물 수익률은 이날 하루 0.08%포인트 하락한 4.66%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국고채 20년물은 이틀 동안 무려 0.21%포인트(21bp)나 급락했다. 국고채 5년물도 전날 0.04%포인트에 이어 이날 0.11%포인트가 추가로 하락하는 등 주로 장기물 금리가 많이 떨어졌다.


최근 채권시장 금리하락을 주도한 것은 외국인이다. 룩셈부르크와 미국ㆍ중국 등 글로벌 시장의 큰손들은 지난 18일 국고채 중심으로 1조2,294억원을 순매수한 데 이어 19일에는 3,784억원을 순매수했다. 20일에는 4,755억원으로 순매수 규모가 다시 늘었다. 여기에 최근 기관들도 동반매수에 나서면서 금리를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

관련기사



외국인들이 채권을 사들이는 것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와 재정상태가 선진국에 비해 양호해 투자 메리트가 있는데다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이 최근 외화 포트폴리오에 변화를 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채권 중에서도 1년 내외의 단기물보다 장기물의 가격이 많이 올라가고 있다.

과거에는 재정거래 차익을 노린 단기 투자자금이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원화강세를 예상하고 환차익과 채권투자 이익을 모두 얻으려는 장기 투자자금이 유입되는 것으로 보인다.

상황은 일본도 마찬가지다. 도쿄시장에서 이날 오후3시 현재 5년물 국채 수익률은 전일 0.273%에서 0.264%까지 떨어져 2003년 이래 최저치를 경신했다. 2년 만기 국채 수익률도 전일 0.124%에서 이날 오후3시 현재 2005년 이래 최저치인 0.119%로 낮아졌으며 10년 물 국채도 전일 0.940%에서 0.937%로 떨어진 상태다. 앞서 13일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0.99%를 기록해 7년 만에 1% 아래로 떨어졌다.

엔화표시 채권에 대한 해외수요 급증으로 엔화가치도 동반 상승했다. 엔화는 이날 오후3시 전날 달러당 85.39엔에서 85.19엔까지 떨어져 15년 만의 최저치인 11일의 84엔대에 바짝 다가섰다.

정임보 대신증권 연구원은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한국 등 아시아시장의 상대적 성장성이 높아지면서 글로벌 유동성이 아시아 채권시장으로 몰리고 있다”며 “환율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것도 채권시장에 우호적”이라고 말했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