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10년대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4.3%로 떨어지고 2020년대에는 3.1%로 내려갈 것으로 내다봤다.
2030년 이후에는 1%대로 추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오는 2008년 2만달러를 거쳐 2013년에는 3만달러에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재정경제부가 23일 내놓은 `우리 경제의 미래모습 전망'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잠재성장률은 2010년까지 자본의 투입과 생산성 향상으로 4.8%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2011∼2020년에는 4.3%로 낮아지고 2021∼2030년에는 3.1% 하락한 뒤 2031∼2040년에는 1.9%, 2041∼2050년에는 1.0%로 추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2020년대 이후에는 노동투입이 감소세로 전환되고 자본투입도 둔화되기 때문에잠재성장률이 크게 하락한다고 재경부는 설명했다.
1인당 GDP는 2008년을 전후로 2만달러에 도달한 뒤 2013년에는 3만달러에 이르고 2020년 전후로는 5만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경상 GDP는 2008년 1조달러, 2016년 2조달러를 거쳐 2020년대 초반에는 3조달러를 웃돌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GDP기준으로 한국은 2004년 세계 11위에서 2020년에는 9위로 올라간다고 재경부는 말했다.
GDP 관련 전망치는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이 이뤄진다는 것을 전제로 추산한것이라고 재경부는 설명했다.
수출은 2012년에 5천억달러를 넘어서고 2023년에는 1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재경부는 밝혔다.
재경부는 참여정부 출범 이후 자생력을 갖춘 경기회복의 토대가 마련되고 경제시스템이 선진화되는 등 그동안의 정책적 노력들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체감경기가 아직 부진한 데다 경제구조 개혁, 양극화 해소, 미래 대비등에서는 부족한 점이 있다고 평가했다.
재경부는 앞으로 ▲경기회복세를 튼튼히 하고 ▲중소기업과 영세 자영업자의 구조조정을 원활히 추진하며 ▲생산성이 낮은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양극화 해소 ▲미래변화 대비 등을 위해 적극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