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빚의 악순환’ 생계형 가계대출 250조 돌파

은행 생계형대출 금융위기 이후 최대…생계형 금리는 8%대로 급등

올해 ‘생계형 가계대출’ 잔액이 사상 처음으로 250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생계형 대출금리는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으로 올라 가계의 빚 부담이 가중할 것으로 우려된다. 13일 한국은행의 가계대출 통계를 보면 올해 3ㆍ4분기 은행과 제2금융권 가계대출에서 주택대출을 제외한 기타대출 잔액은 245조2,000억원이다. 1년 전보다 9.1% 가량 늘어난 것이다. 4ㆍ4분기 중 기타대출이 지난해 수준인 8조4,000억원 가량 늘어난다고 가정하면 올해 말 잔액은 250조원을 가볍게 넘어선다. 기타대출에는 마이너스통장 대출, 신용대출, 예ㆍ적금담보대출, 동산대출 등이 속한다. 이런 대출은 주택대출과 달리 가계가 생활비를 마련하려고 빌리는 사례가 대다수라 생계형 대출로 볼 수 있다. 생계형 대출은 은행과 제2금융권에서 모두 빠르게 증가했다. 올해 3ㆍ4분기 은행의 기타대출 잔액은 146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3ㆍ4분기보다 5.1% 늘어났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9년 1ㆍ4분기 7.1% 이후 최대 증가율이다. 은행의 기타대출은 2009년 들어 차츰 증가세가 둔화했으나 지난해부터 다시 증가 폭이 확대됐다. 상호저축은행, 상호금융, 신협 등 제2금융권을 포함하는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기타대출 잔액은 98조8,000억원이다. 1년 전보다 무려 15.7% 늘었다. 전분기 19.0%보다는 둔화했지만 1년9개월째 두 자릿수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생계형 대출이 급증한 것은 최악의 가계 빚과 높은 물가 부담을 안은 가계가 부족한 생활비를 보충하려고 돈 마련이 비교적 빠르고 쉬운 마이너스통장대출이나 예ㆍ적금담보대출을 이용했기 때문이다. 한은 관계자는 “기타대출의 용도를 구체적으로 알기는 어렵지만 주로 학자금이나 생활비인 것으로 보인다. 상환위험이 크고 담보가 없어 금리가 높다”고 설명했다. 생계형 대출은 주택대출과 달리 투자가 아닌 소비 목적이어서 가계가 빚을 갚지 못하는 어려움에 부닥칠 가능성이 크다. 주택대출보다 금리가 높아서 금리충격에도 민감하다. 특히 반년째 지속한 기준금리 동결에도 생계형 대출 금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마이너스통장대출을 주로 포함하는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신규취급액 기준 지난 9월 연 8.27%로 2008년 12월 8.35% 이후 거의 3년 만에 처음으로 다시 8%를 넘었다. 10월에도 8.22%의 높은 수준을 지속했다. 지난 10월 500만원 미만 소액대출 금리는 연 7.02%로 올해 두 차례를 제외하면 2009년 11월 7.12% 이후 약 2년 만에 가장 높았다. 예ㆍ적금담보대출 금리도 5.47%로 지난해 8월 5.48% 이후 약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