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분기 GDP 7.2% 성장,

반도체가 효자…설비투자 전분기 대비 8.1% 급증

경제 성장률이 지난 1ㆍ4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또 다시 깜짝 실적을 냈다.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보다 7.2%, 전분기에 비해서는 1.5%를 기록했는데, 지표만 놓고 보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좀 더 높아졌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한국은행이 26일 내놓은 ‘2분기 GDP 성장률(속보치)’을 보면 2분기 GDP는 작년 동기 대비 7.2% 성장했다. 전년 동기 대비 경제성장률은 작년 2분기 -2.2%에서 3분기 1.0%로 플러스로 돌아선 뒤 4분기 6.0%, 올해 1분기 8.1%로 뛰어올랐다. 전기 대비 성장률은 1.5%를 기록하면서 전분기의 2.1%보다 하락했지만 기저효과를 감안한다면 쾌조의 성적표라 할 수 있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 경제가 예상보다 강한 성장세를 지속해 금융 위기 이전의 정상 수준 회복에서 더 나아가 확장 국면에 진입해 있을 가능성을 나타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2분기 성적이 이렇게 좋은 것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증가세를 지속한데다 설비투자와 수출이 호조를 보인 데 따른 것이다. 무엇보다 설비 투자의 회복세가 경기 국면에서 청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투자 확대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29.0%, 전분기 대비 8.1% 급증했다. 제조업은 일반기계와 금속제품, 자동차 등 수출 관련 업종의 호조로 작년 동기 대비 18.0% 증가했다. 전기 대비로는 5.1% 늘었다. 반면 건설업은 주거용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작년 동기 대비 0.5% 감소하면서 2008년 4분기 이후 1년6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전기 대비로도 0.8% 줄었다. 민간소비는 내구재가 감소했지만, 비내구재와 준내구재 및 서비스 등에 대한 지출이 증가하면서 작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전기 대비로는 0.8% 늘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