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관피아' 프레임에 갇혀버린 공직개혁


'이기지 않으면 패(敗)'하는 선거의 언어는 자극적이다. 3초 안에 유권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언어를 내놓아야 하는 탓에 지극히 단순하고 공격적이다. 언어가 복잡하면 패하는 것은 수순이다.

선거에서 주로 사용된 것 중 하나가 '언어 프레임'이다. 프레임을 짠 뒤 상대방을 그 안에 가둬두기도 한다. 프레임에 한번 갇히면 진실은 진실이 아니다. 프레임에 의해 거부될 뿐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선거의 여왕'이다. 평범하면서도 순간적인 재치가 묻어나는 몇 마디의 말이 선거판을 뒤흔들기도 했다. 간단명료하지만 힘이 있는 언어구사는 지지층의 마음을 후련하게 했고 결집시켰다. 달변이 아니어서 더 매력이 있다는 평가도 있다. 차라리 더 진솔하다는 이유에서다.

관련기사



승리의 습관 때문일까. 박 대통령의 언어구사 방식은 선거 이후에도 변화가 없다. 국민들은 역시 후련함을 느끼지만 때로는 대통령의 언어 프레임에 갇혀 버리는 이들도 발생한다. 대표적인 게 '관피아(관료+마피아)'다. 마피아는 19세기의 시칠리아섬을 주름잡던 반정부 비밀결사 조직으로 시작해 매음·도박·마약·사금융 등을 운영할 정도로 기업화된 이탈리아의 범죄집단이다. 교황까지도 마피아에게 성전(聖戰)을 선언했다. 그런 마피아가 우리나라 사회에서는 관료들과 동급이 돼 버렸다. 대통령이 '관피아'라는 말을 사용하는 순간, 모든 공직자들은 범죄집단으로 추락했다. 지나친 단순화의 덫에 걸려 버린 셈이다.

범죄자로 낙인 찍힌 뒤 공직자들이 겪는 방황의 골은 깊었다. 유능하다는 평가를 받는 한 공직자는 스스로 명예퇴직의 길을 택했다. "20여년 공직생활 중 올해처럼 정신적으로 힘이 든 적이 없다" "신분을 밝히는 것도 꺼려지고 자식들이 나를 바라보는 시선도 의식하게 된다" 등의 말도 듣는다. 젊은 사무관들은 "공직사회 선택을 후회한다. 더 늦기 전에 기업으로 옮겨야 하는 것 아니냐"고 기자에게 되묻기도 한다. 국가를 운영하는 이들이 극심하게 방황하고 있다는 얘기다. 흔들리는 공직사회의 실태는 서울경제신문이 24개 중앙부처 2~8급 공무원 335명을 대상으로 한 '공직사회 개혁에 대한 공무원 의식조사' 설문결과에서도 여실히 나타난다. 10명 중 8명이 '전직을 고려해봤다'고 답을 했다.

대통령은 관피아라는 극단의 언어를 택한 뒤 대대적인 개혁의 칼날을 내밀었다. 공직사회 내에서는 "이미 이렇게 된 것 차라리 제대로 된 개혁의 방안을 내놓으라"고 요구하고 있다. '출구를 없앤 채 토끼몰이식으로 진행하는 개혁'을 하지 말고 제대로 하라는 얘기다. 공직사회의 요구대로 실적에 치우친 개혁은 안 된다. 수십 년간 쌓인 적폐를 걷어내되 특정 집단이 타깃이 아닌 사회 전반에 대한 개혁을 단행해야 한다. 동시에 범죄집단으로 몰려 가슴에 맺힌 '응어리'를 푸는 길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