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새정연 혁신위 "국민공천단 경선"

10차 혁신안 발표

신인 10%가산점·결선투표 도입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는 7일 국민공천단을 구성해 경선을 실시하고 경선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10차 혁신안을 발표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참여경선을 먼저 시작했던 우리 당은 안심번호 부여와 국민공천단을 통해 진정한 국민참여를 이룰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경선 선거인단은 안심번호가 도입될 경우 국민공천단 100%로, 도입되지 않으면 국민공천단 70%와 권리당원 30%로 구성된다. 안심번호란 암호화 프로그램으로 생성된 가상의 전화번호로 여론조사의 조작·왜곡 가능성을 차단하고 개인정보 유출도 막을 수 있다.


국민공천단은 선거구별로 300명 이상 1,000명 이하로 꾸려진다. 혁신위는 도덕적 검증을 통과한 후보자는 누구나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후보가 난립하면 5배수로 압축하기로 했다. 경선은 ARS와 현장투표를 혼합해 실시하고 1차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때 1~2위를 대상으로 결선투표를 거치도록 했다.

관련기사



정치 신인의 등용을 위해 10%의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 전·현직 국회의원, 기초단체장, 지역위원장, 광역의원 재선 이상, 국회의원 후보자로 추천됐던 자, 동일 선거구의 당내 경선에 2회 이상 참여자는 정치 신인에서 제외된다.

여성·장애인에게는 현행 20%보다 높은 25%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청년은 현행 20%에서 △만 29 이하 25% △만 30~35세 이하 20% △만 36~42세 15% 등 연령별로 가산점을 차등화했다.

임기 도중 사퇴하는 선출직 공직자는 감점을 주기로 했다. 임기의 4분의 3을 마치지 않은 선출직 공직자가 공천을 신청할 경우 경선 득표에서 10%가 감산된다.

혁신위는 전략공천과 비례대표 심사기준도 확정했다. 전략공천위원회는 선거일 120일 전에 꾸리고 외부인사가 50% 이상 참여하는 15인 이하의 위원을 구성하기로 했다. 위원장은 최고위원회 의결로 당 대표가 임명하며 전략공천 비율은 20% 이내로 제한된다.

비례대표 역시 별도 심사위원회를 꾸리되 여성 당선우선권 배정비율을 현행 50%에서 60%로 상향조정한다. 당선권 후보의 3분의1 이상을 직능·노동·농어민 등 민생복지 전문가, 덕망 있는 현장활동 전문가를 공천하고 비정규직 노동자와 영세 자영업자를 상위 순번에 배치하기로 했다. 비례대표 순번은 중앙위원의 선호투표를 통해 결정하되 당선안정권의 20%는 순위투표와 상관없이 전략공천할 수 있도록 했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