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휴대폰 단말기 내년엔 싸질까?

보조금 허용불구 신규서비스 등에만 집중<br>3년미만 가입자 단순기기변경은 해당안돼<br>실제 가격혜택 고객 예상보다 많지 않을듯


회사원 김광수(34)씨는 휴대폰을 바꿀 계획이었지만 내년 3월 이후로 연기했다. 정부가 내년 3월부터 3년 이상의 장기 가입자에게만 선별적으로 보조금 지급을 허용할 것이라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년 3월부터 휴대폰 단말기에 대한 보조금이 부분적으로 허용돼도 그 혜택을 받는 소비자는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내년에 단말기 보조금이 허용되더라도 이동통신사들은 마케팅 비용을 올해보다 크게 늘리지 않을 방침이다. 지금도 신규 가입이나 번호이동에 대해서는 유치 수수료 명목으로 사실상 보조금이 지급되고 있는 만큼 내년에 보조금이 허용되더라도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혜택은 예상만큼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지배적 전망이다. 이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조금을 바라보고 단말기 구입을 늦춘다고 해서 내년 3월부터 상당한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보조금은 주로 신규 가입자 유치용=이동통신사들은 주로 새로운 가입자들을 유치하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한다. 단말기 보조금은 소비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대승적인 차원’에서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경쟁업체보다 더 많은 가입자를 확보, 수익 기반을 늘리기 위한 수단이다. 지금은 신규 가입이나 번호이동 고객을 끌어들이려고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3년 이상 장기가입자와 차세대 서비스로 전환하는 고객에게도 단말기 보조금을 지급해야 한다. 따라서 보조금 지급 대상 범위가 확대됨으로써 개개인이 얻는 보조금 혜택은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다. 이통업계로서는 제한된 마케팅 예산 범위안에서 최대한의 수익을 창출해야 하기 때문에 ‘돈이 되는’ 고객에게만 보조금을 지급할 가능성도 높다. ◇3년 이하 가입자는 신규ㆍ번호이동에 따른 혜택 줄어들 수도=정부는 내년부터 보조금을 일부 허용하는 대신 탈법적인 보조금 지급에 대한 관리감독은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이통사들은 현재 유치 수수료 명목으로 지급하던 보조금을 축소하지 않으면 거액의 과징금을 감수해야 한다. 신규가입이나 번호이동의 경우에는 지금은 가입시점과 관계없이 20~30% 가량 싸게 살 수 있지만 내년부터는 3년이하 가입자의 경우 오히려 지금보다 비싸게 휴대폰을 구입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단순 기기변경의 경우에도 혜택은 크지 않을 듯=3년 이상 가입자의 경우에도 보조금 혜택을 받는 범위는 제한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단순히 단말기만을 바꾸는 것에 보조금을 지급하면 추가적인 지출만 있을 뿐 새로운 수익창출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통사들로서는 보조금을 지급해야 하는 동기가 약해진다. 따라서 이통사들은 보조금을 새로운 부가서비스로 연결시킬 수 있는 특정 제품에 보조금을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단말기라면 이통사에게 수익이 돌아가는 위성DMB에 보조금을 집중하고, 지상파 DMB 단말기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지급하는 방식이 유력시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