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주당 광주시장 후보 경선 시민공천배심원제 도입 가닥

지역 인사등 반대 '막판진통'

물 건너가는 듯했던 호남 지역의 시민공천배심원제도가 전격 도입될 가능성이 커졌다. 하지만 이를 두고 지역 내의 인사들과 비주류 일각에서 반발이 터져나오면서 험로도 예고되고 있다. 2일 민주당에 따르면 민주당 지도부가 그간 '6ㆍ2 지방선거' 공천방식을 놓고 논란을 빚어온 광주시장 후보 경선에 시민공천배심원제를 전면 도입하는 방향으로 내부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이 당의 핵심 지지기반인 광주에 전략공천의 일환인 배심원제를 대폭 적용하는 방안으로 가닥을 잡음에 따라 지방선거 공천작업이 급류를 탈 것으로 보인다. 당의 한 관계자는 이날 광주시장 후보 공천과 관련해 "배심원제로 후보군을 추리는 컷 오프(예선) 방식은 배심원제 취지에 맞지 않다는 게 대체적 의견"이라며 "비공개 최고위에서도 시민배심원제와 당원 전수 여론조사 결과를 50대50으로 반영한 결합형으로 치르는 데 대한 이견이 좁혀졌다"고 전했다. 호남의 변화를 견인하지 않으면 지방선거에서 수도권 민심도 견인하기 어렵다는 현실인식에서다. 호남 개혁공천 드라이브는 최재성 경선관리본부장, 대표비서실장을 지낸 광주의 강기정 의원 등 386주류 인사들이 총대를 메고 추동력을 보태고 있는 모양새다. 여기에 당의 공천심사위원회도 현역 광역ㆍ기초단체장에 대해 업무평가를 공천 과정에 반영하기로 하는 등 '호남 물갈이' 태풍이 대대적으로 몰아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박주선 최고위원 등 광주 지역 의원들과 후보자들이 반발하고 나서면서 막판 진통이 예고되고 있다. 지도부는 이와 함께 광역단체장 후보 가운데 대전시장 후보를 배심원제로만 선출하기로 했으며 경선 일정은 오는 27일 대전, 28일 전남 제주, 4월3일 전북, 4일 경기, 10일 광주, 11일 인천, 17일 강원으로 정했다. 민주당 불모지인 영남권 광역단체장은 4월17일까지, 서울시장은 다음달 18일이나 24일 경선을 하도록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