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러프에 빠진 중국 골프장

시진핑 반부패 칼날 영향… 7월 NDRC 골프장 정리 결정 뒤 수십 곳 강제 폐쇄

시진핑 정부의 반부패 운동이 골프천국 중국을 깊은 러프 속으로 밀어 넣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반부패 칼날에 움츠린 중국 골프산업이 좀처럼 러프를 빠져나오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25일 WSJ와 홍콩 봉황망 등에 따르면 베이징시 당국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맞춰 오픈했던 옌치 골프장의 레이커 코스가 폐쇄됐다. 일각에서는 골프매니아인 버락 오바마 등과 세계 각국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석하는 APEC 이후 골프장에 대한 규제가 풀릴 것이라는 기대가 나왔지만 베이징시는 옌치 골프장의 문을 닫았다.


중국의 골프는 1949년 공산혁명 이후 공식적으로 금지됐다. 이후 외국인 투자가 시작된 1980년대 초부터 허용되기 시작해 중산층으로 빠르게 확산됐다. 2004년 절대농지가 감소하며 골프장 신규건설이 중단됐지만 편법적으로 골프장은 우후죽순처럼 늘었다. WSJ는 아이러니하게도 중국의 대부분 골프장이 신규 건설을 중단한 2004년 이후 건설됐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004년 178개였던 골프장은 지난해 말 585개로 늘었고 통계에 잡히지 않은 골프장까지 포함하면 1,200~1,400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이 체육시설이나 리조트로 등록된 이들 시설은 불법시설물로 간주된다. 일단 중국의 골프장은 환경 문제와 만성적인 물 부족이란 문제를 안고 있다. 골프장 건설과 유지를 위한 환경파괴에다 막무가내식으로 물을 끌어 써서 마른 경작지는 중국 정부의 고민이다.

관련기사



시진핑 정부 들어서 부패척결을 가속화하며 중국 골프산업은 수렁에 빠졌다. 7월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가 골프장을 정리하기로 결정해 9일 선양의 강남골프장이 문을 닫은 데 이어 베이징의 12개 골프장이 강제폐쇄된다고 보도했다. 또 광저우·상하이·후베이 등의 골프장도 정리에 들어갔다.

중국 골프장이 부패척결의 타깃이 된 것은 불법시설물인 만큼 건설과 유지를 위해서는 공무원들과 유착 관계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뇌물과 향응이 판칠 수밖에 없다. 여기다 농촌 지역의 토지를 편법적으로 사들이는 '토지 횡령'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봉황망은 일부 관리들이 평일에도 골프장에서 골프를 즐기며 뇌물을 받기도 한다고 전했다.

WSJ는 중국의 소득이 늘어나며 골프 인구가 급증하지만 시진핑 정부에서는 골프산업의 미래가 어두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