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신경줄기세포 되살릴 수 있다

강경선 서울대교수팀 메커니즘 첫 규명


국내 연구진이 몸속에서 죽어가는 신경줄기세포를 되살릴 수 있는 유전자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이에 따라 신경세포가 죽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알츠하이머병 등의 신경ㆍ퇴행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문이 열렸다. 강경선 서울대 수의대 교수팀은 22일 퇴행성ㆍ난치성 신경질환의 원인인 ‘신경줄기세포의 사멸’과 관련한 유전자(NPC-1)의 기능과 사멸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줄기세포 분야 유명 국제학술지인 스템 셀(Stem Cells) 인터넷판에 ‘긴급’(express) 논문으로 소개된 것은 물론 국내외에 특허출원됐다. 기술의 상업화는 RNL바이오사에서 추진 중이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퇴행성 질환 중 하나인 ‘니이만 픽병’을 유발시킨 쥐를 교배시킨 뒤 16일째 된 새끼의 뇌에서 대뇌를 꺼내 신경줄기세포를 배양했다. 이후 연구팀은 NPC-1 유전자가 신경줄기세포의 자체 재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NPC-1 유전자를 제거한 쥐의 신경줄기세포는 정상 쥐와 비교할 때 자체재생능력이 크게 낮았다. 강 교수는 “NPC-1 유전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MAPK 인산화 효소 억제제’를 조절하면 죽어가는 신경줄기세포의 재생도 가능할 것”이라며 “이번 연구성과는 ‘니이만 픽병’ 환자들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병 등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에도 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