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이마트 기본료 '반값 휴대폰' 판다

프리텔레콤 내일부터 1000대 한정 수량<br>업게선 MVNO 사업 본격 나서나 분석도

이마트가 매장 내에서 이동통신재판매(MVNO) 휴대전화를 판매한다. 현재는 유통망만 빌려주는 수준이지만 앞으로 대형마트들이 MVNO 사업자로 나설 지 업계와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오는 11일 전국 130개 매장에 입점해 있는 휴대전화 대리점 '모바일 이마트'에서 MVNO 사업자인 프리텔레콤의 휴대전화를 판매한다. KT에서 망을 빌려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리텔레콤이 이마트에서 판매하는 상품은 기본료가 최소 4,500원인 '프리씨(freeC)'후불 요금제다. 1만2,000원인 KT의 기본료보다 50% 이상 저렴하다. 모바일 이마트를 운영하는 신세계I&C는 우선 프리텔레콤의 상품을 일단 1,000대 한정 수량으로 판매한다. 이후 사업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MVNO 상품을 계속 판매할 지 결정할 계획이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이마트가 직접 MVNO 사업자로 나설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이마트가 작년 매장 내 이통사 대리점을 입점 형태에서 신세계I&C를 통한 운영으로 바꾼 것도 연관성이 없지 않다는 시각이다. 외국에서는 유통업체들이 MVNO 사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월마트는 '패밀리 모바일', 영국의 테스코는 '테스코 모바일'이라는 브랜드로 사업하는 게 대표적이다. 이에 따라 이마트 뿐 아니라 홈플러스와 롯데마트도 조만간 MVNO사업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마트들은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다. 사업성을 갖추기에는 MVNO시장 여건이 그리 좋지 않기 때문에 섣불리 뛰어들 수 없다는 것이다. 롯데마트의 한 관계자는 "KT와 SKT 등 기존 대형 통신사업자들이 장악하고 있는 시장에서 MVNO 사업자들이 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사업성이 있다"면서 "단순히 대형마트가 고객수가 많다는 이유만 가지고 MVNO 사업에 진출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