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차·제약 ·지재권등 개방요구

USTR 무역장벽 보고서 발표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달 31일 연례 국별무역장벽보고서(NTE)를 발표하고 한국에 대해 자동차·제약·지적 재산권 등의 시장개방 확대를 요구했다. 이와 관련, 워싱턴의 한미 통상관계 전문가들은 미국이 올해 한국에 대해 슈퍼 301조를 발동할 가능성은 별로 없으나 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대한 개방 압력의 파고가 한층 거세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별 무역장벽보고서는 지난해 빌 클린턴 행정부가 부활시킨 슈퍼 301조 발동의 근거가 되는 것으로 올해는 모두 54개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보고서는 일본·중국·유럽연합(EU)·캐나다·멕시코 등과 함께 한국을 주요 관심 국가로 지목하고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시장지향적 개방정책으로 금융산업 등에서 일부 개혁이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아직도 많은 분야에서 구조적 개혁이 시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분야별 무역장벽 사례로 자동차를 꼽고 지난 98년 한국 자동차 시장에 대한 슈퍼 301조 조사 종결 당시 체결한 양해각서의 내용과 달리 외국산 자동차의 시장접근이 크게 늘지 않았으며 한국 자동차 업체들의 구조조정이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외국 신약 개발업체들에 대한 차별 관행이 시정되지 않고 있고 지적 재산권분야의 저작권·임상 자료·특허권 보호 정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했다. USTR는 4월 말까지 의회에 슈퍼 301조 발동 여부를 보고하고 각국의 불공정 사례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게 된다. 한편 정부는 미 무역대표부의 국별 무역장벽보고서(NTE)에 대해 「공식적으로」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부관계자는 2일 『미 정부가 보고서에서 한국정부의 자동차 수입억제정책, 포철 민영화 지연 등 10개 항목을 지적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조치가 없는 만큼 현재로서는 공식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뉴욕=이세정특파원BOBLEE@SED.CO.KR 입력시간 2000/04/02 17:3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