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지방 中企 해외시장 개척, 다문화가족을 활용하라”

무협, ‘다문화가족을 활용한… 해외마케팅 성공사례 및 시사점’ 보고서

28만여명에 달하는 국내거주 결혼이민자 및 혼인귀화자 인력을 지방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4일 ‘다문화가족을 활용한 지방중소기업의 해외마케팅 성공사례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최근 3년간 무협 지역본부가 지자체와 함께 진행한‘다문화가족 활용 해외시장개척 지원사업’을 분석하고 다문화 요원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면 지방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완화하는 동시에 해외마케팅도 성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문화 사업은 결혼이민자 등을 재택근무 형태로 고용해 전문인력이 부족한 지방 중소기업의 애로를 해결하는 동시에 결혼이민자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목적으로 2011년 무협 전북지역본부에서 최초로 시작했다. 현재는 광주전남 및 울산에서도 실시하고 있다.

관련기사



제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규 해외 거래선을 발굴하는 과제는 한국인에게도 쉽지 않은 일이지만 사업 첫해인 2011년 베트남 다문화 요원 E씨는 베트남과 5만달러 상당의 화장품 수출계약을 성사시켰다. 이듬해에는 우즈베키스탄인 D씨가 러시아에 13만6,000달러 상당의 식품 수출계약을 성공시켰다.

보고서는 다문화 사업의 성공 요인으로 참가업체의 적극적인 의지, 다문화 요원을 밀착 지도하는 멘토링 위원의 역할, 마지막으로 주관기관의 섬세한 코디네이터 역할을 꼽았다. 그러나 다문화 요원의 업무능력 부족, 업체의 수출희망국과 다문화 요원 출신국적의 미스매치 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요원 양성을 통한 인력 풀 확대와 다문화 요원 DB 구축을 통한 네트워크 활용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송이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이 다문화 요원을 통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최소 1년 이상의 사업기간이 바람직하다”며 “성과급 인센티브 등의 제도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