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손병두 총장 "대학 자율화는 세계화 시대 필수조건"

퇴임 앞둔 손병두 서강대 총장 기자간담


"세계화 시대에 한국 대학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자율화가 필수적입니다." 퇴임을 보름 앞둔 손병두 서강대 총장은 11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인재 선발 과정부터 정부의 규제가 있는 한 외국 대학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2005년 6월27일 4년 임기로 취임한 손 총장은 서강대 사상 '비(非)신부' 출신 첫 총장이자 전문 경영인 출신의 최고경영자(CEO)형 총장으로 화제가 됐다. 그는 "엘빈 토플러는 저서에서 '고속도로상에서 기업이 100마일의 속도로 변한다면 대학은 10마일의 속도로 변한다'고 썼다"며 "특히 한국 대학은 정부의 각종 규제로 2~3마일의 속도밖에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4월부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을 맡아온 그는 회장으로서의 활동에 관한 질문에도 "현 정부가 들어설 때 교육개혁을 하겠다고 해서 기대가 컸는데 대학의 자율성 보장 측면에서 아쉬운 부분이 있다. 교육부가 없는 미국과는 달리 국내 대학들은 사소한 정책까지 정부의 인허가를 받아야 해 발전에 저해되는 측면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사립대는 재정자립도가 중요하다는 생각에 대교협 회장으로 있으면서 사립대학의 육성지원법과 재정 확보를 위한 관련 법 도입을 추진했는데 결실을 보지 못하고 회장직을 떠나게 돼 아쉽다"고 토로했다. 학내 홈플러스 입점과 관련한 논란에는 "반대하는 의견이 있지만 찬성하는 학생ㆍ교수들도 많다. 마트뿐 아니라 문화시설도 들어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세월이 화살처럼 빨리 지나갔다"는 그는 "'감사했습니다. 행복했습니다'라는 말을 전하고 싶다"며 4년간의 총장 생활에 대한 소회를 피력했다. 퇴임 이후 거취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