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지하철 최다 유실물은 전자제품…"가방 첫 추월"

작년 총유실물 8만7천건 달해…'87년 이후 최대

서울 지하철을 이용한 승객들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 제품을 가장 많이 놓고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24일 발표한 '2011년 지하철 1~8호선 유실물 통계'에 따르면 유실물 접수 건수는 총 8만6,943건으로 전년 대비 11.2% 증가했다. 이는 1987년 지하철 유실물 센터가 생긴 이래 가장 많다.


유실물 1위는 1만9,842건이 접수된 전자제품으로 지난 5년간 꾸준히 수위를 차지했던 가방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가방은 16건이 적은 1만9,826건이었다. 이어 의류(6,608건), 서류(3,643건)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제품 유실물 접수 건수는 5년 전에 견줘 2배 이상 늘었다. 5년 전인 2007년과 비교했을 때 가방은 18.8% 늘었지만 전자제품은 120.2% 증가했다. 평균 증가폭도 가방은 4.5%였던데 비해 전자제품은 22.4%로 더 컸다.

이는 지난 몇 년 사이 노트북, PMP, MP3, 휴대전화 등 각종 전자제품이 급속도로 많이 보급된 데다 수도권 지하철에 무선랜이 구축되면서 전동차 안에서 태블릿PC나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는 승객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고 시 관계자는 설명했다.

본인 인계율은 전자제품과 가방이 각각 93.5%, 82%로 높게 나타났다. 고가품일수록 승객들이 분실 즉시 신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반면 귀금속의 인계율은 38%로 가장 낮았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의류의 인계율도 51%로 주인을 찾기 어려운 대표 유실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이용 중 물건을 분실하면 침착하게 열차번호와 하차시간, 하차위치 등을 기억해 가까운 지하철 역무실이나 지하철 고객센터로 신고하면 된다./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