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가스공사 사장인선 표류 7개월

손철 기자 <경제부>

가스공사의 사장 재공모가 또 불발로 끝났다. 지난 3월 중순 정부에 의해 사장이 전격 해임된 가스공사는 또다시 선장 없이 2개월 여를 보내게 됐다. 최고경영자 공백기간만 7개월이 넘는 셈이다. 수장 없이 표류하고 있는 회사만 이번 사장인선에서 피해를 보고 있는 것은 아니다. 가스공사의 1ㆍ2차 사장 공모에만 정ㆍ관계와 업계 명망가 30명이 지원했다가 고배를 마셨다. 당사자 대부분은 ‘시스템 인사’란 말만 믿고 공모에 나섰다가 원칙 없는 인사기준에 몸과 마음만 상한 채 낙담해있다. 가스공사 주변에선 30명의 가장 유력한 후보가 나섰는데도 결정을 못했으니 “누가 또 나설 것이며, 또 나선 들 먼저 응모했던 사람들 보다 나은 인사가 뽑힐 것 같지 않다”는 푸념이 나온다. 장고 끝에 악수가 나올 상황이라는 얘기다. 각계 유력인사와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사장추천위원회 위원들의 불만도 폭발 일보 직전이다. 두차례에 걸쳐 30명의 후보 중 상당수를 걸러 최종 10여명을 추천했는데도 사장 선임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사실상 청와대가 사추위의 무능함을 두고 시위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가능하다. 하지만 사추위도 답답하고 억울하기는 매 한가지다. 최대한 청와대가 우선시하는 인사기준을 고려해 후보를 추천했기 때문이다. 실제 최종 후보들의 개인적 치부가 청와대 검증과정에서 드러나 모두 낙마한 것도 아닌 것으로 확인돼 “도대체 인사기준이 뭐냐”는 대꾸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청와대는 인사시스템엔 문제가 없으니 “제대로 하라”는 말로 일관하고 있다고 한다. 이미 올 들어서만 수차례 정부 부처 및 산하기관의 무원칙한 인사, 보은을 위한 낙하산 인사에 대한 언론의 비판에 모르쇠로 일관해 왔으니 어쩌면 당연한 반응일 지 모른다. 그러나 “차라리 낙하산이 오더라도 더 이상 회사가 혼란스럽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한 직원의 말 속에 깃든 진심이자 민심을 이제는 청와대가 헤아렸으면 한다. 인사시스템에 고장이 난 건 아닌지, 시스템 자체가 문제를 안고 있었던 건 아닌지 옷깃을 여미고 살필 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