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3분기 실거래가 공개] 전국 아파트 거래동향

9월부터 실수요자 대거 '사자' 합류<br>3억이하 아파트 거래량 비중 78%까지 치솟아<br>서울·경기 거래량도 8월보다 두배 가까이 폭증<br>정부 '8·31대책' 성공 믿다가 선제대응도 못해


[3분기 실거래가 공개] 전국 아파트 거래동향 9월부터 실수요자 대거 '사자' 합류3억이하 아파트 거래량 비중 78%까지 치솟아서울·경기 거래량도 8월보다 두배 가까이 폭증정부 '8·31대책' 성공 믿다가 선제대응도 못해 김문섭 기자 lufe@sed.co.kr 관련기사 • 9월 거래건수 올 최고 10채중 9채가 중소형 • 전국 아파트 거래동향 • 지역별 분석해보니… • 공개방법 어떻게 바뀌었나 • 강남지역 얼마나 올랐나? • 실거래가 살펴보니… 건설교통부가 30일 공개한 3ㆍ4분기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는 최근의 시세 변동분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지금 집을 사거나 팔려는 사람에게는 큰 의미가 없다. 지난 10월 추석연휴 이후 수도권 전역의 집값이 급등했으나 이 같은 실거래 동향은 내년 2월에나 공개될 예정이다. 그러나 9월까지의 거래 동향만 살펴봐도 9월 이후 집값이 왜 그렇게 어지럽게 폭등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패턴들이 포착된다. 우선 주목되는 것은 8월 이후 중소형 아파트의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집값도 따라 오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주택시장의 불안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3월 중소형 아파트가 전체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에 불과했지만 9월에는 45%로 늘어났다. 가격 측면에서 봐도 대부분 중소형일 것으로 추정되는 3억원 이하 아파트의 거래량 비중은 3월 68%에서 9월에는 78%까지 치솟았다. 9월 거래된 전국 아파트 10채 중 8채는 3억원 이하 서민주택이었다는 뜻이다. 이는 10월부터 시작된 수도권 집값 불안의 근본요인이 무엇인가를 예고했던 중요한 통계로 받아들여진다. 가을 이사철을 맞아 전셋값이 들썩이기 시작한 마당에 수도권 곳곳에서 벌어진 고분양가 논란, 검단 신도시 발표 등의 불안요인까지 더해지자 다급해진 무주택 서민들이 내 집 마련 대열에 대거 동참하며 기나긴 ‘사자’ 행렬을 이뤘다는 것이다. 서울ㆍ경기 지역 거래량 수치에서도 이 같은 조짐을 읽을 수 있는 의미 있는 변화가 엿보인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월 4,945건으로 연중 최저치를 보였다가 8월 7,780건으로 슬그머니 늘어나더니 9월에는 1만4,660건으로 두배 가까이 폭증했다. 이는 3월의 1만1,850건조차 크게 능가하는 수치. 경기 지역 역시 9월 거래량이 2만4,424건으로 연중 최고치였던 3월의 1만6,764건을 압도했다. 9월이 이사철 성수기라는 계절적 요인을 감안하더라도 이처럼 거래량이 급증한다는 것은 그만큼 매수세가 늘어나 가격불안의 여지가 커졌음을 의미한다. 실제 수도권 중소형 아파트의 평당 거래가격도 8월부터 크게 높아지기 시작했다. 뒤집어 해석하면 실거래가 통계를 쥐고 있는 정부가 실수요자들의 움직임을 미리 감지하고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면 10~11월에 걸쳐 진행된 집값 폭등은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주택시장이 3월을 고점으로 찍은 뒤 8월까지 상당 기간 안정 기조를 유지하자 정부가 ‘8ㆍ31부동산종합대책’의 성공(?)에 고무된 나머지 지나치게 안이하게 대응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김용덕 청와대 경제보좌관(당시 건설교통부 차관)을 위시한 강팔문 건교부 주거복지본부장 등 주택정책 책임자들은 9월 “전셋값 불안은 계절적 요인 탓으로 10월이 되면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는 낙관론만 폈다. 입력시간 : 2006/11/30 18:2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