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전기도매가 폭락… "발전소는 울고, 한전은 웃고"

지난 5월 27일 준공을 마치고 본격적인 상업생산에 들어간 동두천복합발전소는 수도권 최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다. 한국서부발전과 삼성물산, 현대산업개발, GS에너지 등 쟁쟁한 기업들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드림파워㈜가 운영 주체로 설비용량 1,716메가아워(858MW X 2호기), 연간 총 발전량이 1만2,432기가와트아워(GWh)에 달한다.


그러나 본격 상업생산에 들어간 지 2개월만에 동두천복합발전소가 시장에 매물로 나왔다. 1대 주주인 서부발전이 보유지분(33.61%)의 최대 15%를, 2대 주주인 삼성물산이 보유지분(31.1%)의 전량 매각을 추진 중에 있다. 불과 가동 2개월이 지난 발전소가 매물로 나올 정도로 현재 발전업계 상황은 좋지 않다.

관련기사



3일 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LNG 발전소 가동률은 40%로 2년 전인 2013년 5월의 64.6%와 비교하면 25%포인트 가량 떨어졌다. 발전소 10곳 중 6곳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인 셈이다. 이는 한여름인 7월에도 전력이 남아돌면서 전기 도매가격이 폭락해 발전사 입장에서는 차라리 가동을 하지 않는 것이 손해를 줄이는 길이기 때문이다. 지난 7월 평균 전력공급 예비율은 31%다. 전력 사용량이 최대치에 이르렀을 때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30% 이상 여유가 있다는 뜻이다.

전력이 많아지면서 발전사로부터 낮은 가격에 전기를 사들일 수 있게 된 한전은 올해 2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예고하고 있다. KB투자증권은 한전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13조2,000억원, 영업이익 1조9,63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민간 발전사 전력 구입단가가 전년 동기 대비 20% 하락해 5,252억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반면 포스코에너지와 GS EPS, SK E&S 등 민간 LNG 발전사들은 역대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민간발전협희 관계자는 “높은 예비율로 여름철 전기 걱정없이 냉방을 할 수 있지만 LNG 민간발전사들은 최악의 실적으로 속이 타 들어가고 있다”면서 “최근 준공한 고효율의 발전소가 매물로 나온 것 자체가 LNG 발전사들의 암울한 현재 상태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양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