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보수 대연합' 급물살 타나

與, 친박 복당해결로 내부결속·선진당과 전략적 연대<br>靑도 국정수습 방안중 하나로 보수결집 검토<br>"정치공학 처방으론 난국 돌파 못해" 비판도

'보수 대연합' 급물살 타나 與, 친박 복당해결로 내부결속·선진당과 전략적 연대靑도 국정수습 방안중 하나로 보수결집 검토"정치공학 처방으론 난국 돌파 못해" 비판도 온종훈 기자 jhohn@sed.co.kr 정ㆍ청(政ㆍ靑)의 대대적인 인사쇄신을 앞두고 한나라당의 내부결속과 자유선진당과의 전략적 연대를 동시에 추진하는 ‘보수대연합’ 구도가 급부상하고 있다. 한나라당 안에서 친박(친 박근혜) 인사들의 복당 문제를 ‘속도감’ 있게 해결하고 선진당과의 전략적 제휴를 기반으로 국정주도권을 회복하겠다는 전략이다. 매개체는 심대평 선진당 대표를 비롯한 ‘비(非)영남’권 인사의 총리 기용을 통한 탕평인사다. 쇠고기 파동으로 나타난 민심의 향배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인적쇄신을 계기로 이명박 대통령을 중심축으로 보수세력을 재결집해 국면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복안이다. 청와대 측은 이 같은 구도에 대해 ‘즉답’은 피하고 있으나 여러 국정수습 방안 중에 하나로 ‘테이블’에 올려놓고 있음을 부인하지는 않았다. 당장 이 때문에 심대평 총리카드가 ‘비공식’ 선상에서 무르익고 있다. 심 대표 외에도 이원종 전 충북지사, 강현욱 전 전북지사 등이 청와대 안팎에서 총리후보 물망에 오른다. 보수대연합 구도에서 조금 더 나아가는 측에서 일부 진보인사와 야당인사까지 기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 경우 거론되는 인물은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과 최인기 통합민주당 정책위의장 등이다. 내각과 청와대 수석 진용도 고소영(고대ㆍ소망교회ㆍ영남출신)과 강부자(강남 땅부자) 등 1기 정부와 다른 구성으로 짜여질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이 최근 ‘친박 복당’을 서두른 데 이어 같은 뿌리를 가진 선진당 이회창 총재와 장시간 독대, 심대평 총리 발탁 움직임 등 일련의 과정은 보수층 결집으로 에너지를 확충, 실추된 국정 주도권을 회복하겠다는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보수대연합 카드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당장 보수대연합의 정치공학적 처방은 근본적 처방이 아니라는 비판적 시각이 우세하다. 일단 보수대연합을 지지하는 측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을 주축으로 하는 보수 재결집이 정계개편과는 전혀 다른 차원이며 좌파에 이론적으로 대항하기 위한 우파의 단결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제시하고 있다. 당장 이 대통령, 박 전 대표, 이 총재의 고정 지지기반이 50%는 넘을 것이라는 수적 우세를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비판하는 측에서는 보수 대 진보 간, 또는 지역 간 대결 양상이 초래되면 전사회적 대립과 갈등이 불가피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남경필 한나라당 의원은 “민심이 요구하는 것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면서 “보수 대 진보 대결구도의 목소리는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진보 노선의 인사를 청와대와 내각에 기용하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대통령실장은 아니더라도 내각이나 청와대 수석, 감사원장 등에 호남 출신의 진보적 인사를 기용할 수 있다는 얘기가 청와대 주변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