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도입된 해외 인턴 사업은 해외로 눈을 돌려 청년실업을 조금이나마 해소해보자는 취지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직업능력개발원에서 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보니 절반가량(49.1%)이 해외에서 일자리를 구하기보다는 국내 취업을 위한 스펙 쌓기나 해외문화 체험, 어학연수 기회로 여기고 있었다. 참가자들의 자세가 이런 실정인데 높은 취업률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이렇게 된 데는 정부 책임이 크다. 해외 취업은 사전에 취업연계 전략을 짠 후 사업을 진행하는 게 순서다. 그런데도 정부는 참가자 모집에만 신경 쓴 나머지 주먹구구식으로 사업을 운영해왔다. 애초부터 채용의사도 없는 해외 기업에 인턴을 보낸 사례도 많다. 기획팀을 지원했는데 영업마케팅팀에 근무하는 등 희망 분야와 다른 직무에 배정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한다. 그러니 참가자들의 만족도가 높을 리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 해외 취업은 인턴 종료 후에도 취업정보를 계속 제공하는 등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이렇게 하더라도 해외에서 좋은 일자리에 취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의 사후관리는 거의 없다고 한다. 오히려 부처별로 유사사업만 난립하고 있다. 교육부는 대학 글로벌 현장학습과 한미 취업연수, 고용부는 플랜트 해외 인턴 등을 진행하고 있다. 산림청·국토교통부·농촌진흥청 등도 가세해 이런저런 사업을 벌이고 있다. 여기에 들어가는 정부 예산만도 매년 수백억원에 달한다. 올해도 예산 244억원을 투입해 2,692명을 해외 인턴으로 보낼 예정이다.
청년 구직자들이 해외에서 글로벌 감각을 익히고 실무경험을 쌓아 취업에 성공하도록 돕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렇더라도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는 해외 인턴 사업이 성과를 낼 수 없을 뿐 아니라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 부처 간 중복된 사업을 통합하고 단순한 현장학습이 아닌 취업과 연계된 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사업 전반을 재점검해 또 다른 혈세낭비 사업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