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英어린이용 휴대폰 유해성 논란

정부 "전자파 피해" 9세미만 사용금지 권고에<br>제조업체 "성인물등 스팸메일 차단기능 유익"

영국에서 4~10세 어린이들을 겨냥한 휴대폰인 ‘테디폰’이 출시돼 어린이들의 휴대폰 사용에 따른 유해성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영국일간 텔레그래프지 29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어린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인형인 테디베어를 닮은 휴대폰인 테디폰은 부모가 사전에 입력할 수 있는 단축 통화 버튼 4개만 달려 있을 뿐 휴대폰 화면은 달려 있지 않다. 이 휴대폰에는 또 어린이들이 위험한 상황에 처했다고 느낄 때 누르면 자동으로 부모의 휴대폰에 연결되는 응급버튼이 달려 있으며 감시기능을 옵션으로 선택하면 자녀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과 자녀들의 위치 추적도 가능하다. 그러나 영국 정부의 공중보건 자문기관인 영국 건강보호청(HPA)과 국립방사선보호위원회(NRPB) 윌리엄 스튜어트 의장은 “어린이들의 경우 두개골이 완전히 두꺼워지지 않았고 신경체제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자파가 뇌속으로 깊숙이 침투한다”며 “9세 미만은 휴대폰을 사용하지 말고 9~14세의 어린이들도 휴대폰 통화를 필수적인 경우에 짧게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동통신 제공업체 협회의 대변인도 “16세 이하를 상대로 제품을 판매하지 않는 것이 책임있는 정책으로 생각한다”면서 테디폰 제조업체를 비난했다. 이에 대해 테디폰 제조업체의 폴 리칭 사장은 “7~10세 어린이들의 4분의 1이 이미 휴대폰을 소유하고 있다”며 “부모들은 전자파를 적게 방출하는 휴대폰을 구입해 어린이들이 전자파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테디폰을 사용할 경우 낯선 사람의 전화가 걸려오거나 성인물과 같은 스팸메일을 받는 일도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