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당 전부 안이했다" 탄식

'全大룰 무효 판결' 이후 의총서 "당원 1명 설득못해…" 자성 봇물<br>최악땐 전당대회서 경선규정 재논의해야… 친이계 중심 거센 공세

"한나라당 전부가 안이했습니다. 하늘만 보고 탓할 뿐입니다." (한나라당 핵심 당직자) 당원 한 사람을 설득하지 않은 한나라당이 1만명을 설득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한나라당의 한 당원이 7ㆍ4 전당대회 경선규정 절차를 문제 삼아 법원에 낸 가처분신청이 받아들여지면서 한나라당은 일대 혼란에 휩싸였다. 최악의 경우 한나라당은 1만여명의 당원이 모인 전당대회에서 경선규정을 재논의해야 한다. 특히 일부 소장파와 친박근혜계가 주도한 전대 룰에 불만을 가졌던 친이명박계 의원을 중심으로 전대를 연기해서라도 전대 룰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이 나오고 있다. 전대 룰을 둘러싼 내홍이 계파별 국회의원은 물론 일반 당원에게까지 번지는 형국이다. 정의화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9일 의원총회에서 "(지난 6월7일) 전국위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7월2일 오전11시 전국위를 열어 깨끗하게 해결하겠다고 결론을 냈다"면서 "전체 741명인 전국위원의 과반 이상이 찬성해야 안이 성립한다"고 참석을 독려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30일 상임전국위에 이어 다음달 전국위를 열어 당헌과 달라 논란이 된 21만명 선거인단에 의한 '당 대표 경선'을 골자로 한 당헌 개정안을 재의결하기로 했다. 당초 한나라당은 7일 전국위원회 때 사실상 선거인단 수를 기존 1만여명에서 21만명으로 늘리는 내용으로 당헌을 고쳤으나 이 과정에서 이해봉 전국위 의장이 위원 266명의 위임장을 건네 받아 당헌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에 대해 재판부는 28일 "당시 회의는 당헌에 규정된 의사정족수와 의결정족수에 현저히 미달됐다"며 무효라고 밝혔다. 그러나 당내 친이계 의원들은 21만명 대의원 당헌 개정 절차상의 문제뿐 아니라 일반인 여론조사 30% 반영 등 내용도 문제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 기회에 대의원 1표가 일반인 여론조사 30~90표에 해당하는 룰까지 고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가처분신청을 낸다는 사실을 알고도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당 지도부에 대한 내부 반발도 빗발쳤다. 장제원 의원은 "지도부가 결정한 전국위의 재의결을 납득할 수 없다"면서 "이번 사태를 야기한 분은 사과하고 책임 있는 분은 사퇴하라"고 주장했다. 장 의원과 권택기ㆍ진영ㆍ정미경ㆍ조진래 ㆍ조해진 의원 등은 의총을 소집해 전대 후보 7명과 비대위원이 함께 단일안을 만들어 전국위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일부 비대위원들은 법원의 무효결정 이후 전국위에서 당헌 재의결이 이뤄지지 않으면 21만명이 아닌 기존 룰대로 1만명이 모이는 전당대회가 열릴 것이고 여기에서 경선 룰을 의결할 가능성도 예상하고 있다. 한나라당 당직자는 "황우여 원내대표는 법원에 가처분신청을 낸 한나라당 전국위원 김모씨를 직접 만나'당이 결정한 일을 법원에 가처분신청까지 내면 망신'이라고 만류했으나 결국 뜻을 꺾지 못했고 그가 가처분결정 신청을 낸 후 당에서 당헌ㆍ당규도 모르는 변호사를 내세우는 등 무관심했다"고 귀띔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