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미국, 서해훈련 때 핵무기 탑재 가능성"

중국 전문가 주장… 통일연구원 전성훈 연구위원 "북한 3차핵실험 가능성"

북한이 3차 핵실험을 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언론에 따르면 국책 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의 전성훈 선임연구위원은 27일 "북한은 대외적으로 강한 충격을 주기 위해 3차 핵실험을 할 수 있으며, 그 시기는 제8차 NPT 평가회의가 끝나는 5월 말부터 미국 중간선거가 있는 11월 사이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천안함 사태에 대한 북한의 입장과 향후 예상 태도' 분석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히고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명백한 군사 도발이라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북한은 수세 국면을 모면하기 위해 치고 나가는 전략을 쓰면서 공세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는 또 "북한 과학자들이 수소폭탄 제조 기술인 핵융합 반응에 성공했다고 밝힌 최근 노동신문 보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천안함 사태로 조성된 긴장을 역으로 이용해 3차 핵실험을 하기 위한 정치적 포석이자 사전 정지작업일 수 있다는 것. 이와 함께 전 연구위원은 "북한이 공세적 대남전략으로 긴장을 고조시키고 남한 사회에 정치, 경제, 심리적 타격을 줌으로써 정부에 대한 불신과 비판을 일으켜 '남남 갈등'을 조장하려 할 것"이라며 "북한 함정의 NLL 침범이 계속되면 해상 충돌이 발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북한은 지난 24일 핵 보유 정당성을 강조하며 대남ㆍ대미 압박전을 전개한 바 있다. 북한 외무성은 이날 미국에서 열린 핵무기비확산조약(NPT) 평가회의에 대해 "국가의 최고 이익을 지키는 데 필요한 만큼 핵 억제력을 계속 확대ㆍ강화해나갈 당당한 권리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윤덕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도 민·군 합동조사단이 지난 20일 천안함 침몰이 북한 소행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다음날 한국일보 기고 글을 통해 "대북 제재가 현실화할 경우 북한은 다시 핵무기를 언급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정부는 경제 지원 중단과 함께 한미 팀스피리트 훈련 재개, 대잠수함 훈련 실시 등 경제, 군사적 압박 카드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본 바 있다. 미국이 서해상에서 실시할 대규모 한미해상합동훈련에서 핵무기 장비를 탑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중국 관영 방송 CCTV의 특약평론원인 쑹샤오쥔(宋曉軍)은 26일 CCTV의 대담프로인 '환추스셴(環球視線)에 출연해 이 같이 밝히고, 한국과 미국이 서해상에서 상륙작전을 벌이면 6자회담 재개는 물론 한반도 비핵화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그는 "한미는 천안함 사건을 국제화함으로써 유엔에서 해결하려 시도하고 있고 대북 무력공격 의도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북한 역시 선제 공격을 할 것으로 믿어지지 않기 때문에 한반도에서 대규모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은 적다"고 내다봤다. 이 프로그램에서 퍄오젠이(朴建一) 중국 사회과학원 아시아태평양연구소 연구원은 "한국이 고성능 확성기를 통해 대북 심리전에 들어가면 북한의 반발이 크기 때문에 양측간 충돌로 사망자가 나올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미국 CNN 인터넷판은 지난 18일 보복공격은 남북간 전면전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북한이 핵무기를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한미 연합군의 전력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위험성이 너무 높다고 분석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