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견·대기업 60社포함 생사여부 최대관심

1,136개 기업 곧 부실판정경기 부양과 규제완화 조치로 느슨해지던 기업 구조조정이 연말로 다가서며 다시 활기를 띨 것 같다. 새로운 기업처리 수단인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275개 대기업을 포함, 총 1,136개 기업의 생사 판정이 늦어도 내년 1월15일까지 마무리되기 때문이다. 지난 4월부터 시작된 상반기 상시 기업평가에서 생존판정을 받은 기업중 67%가 앞으로 두달안에 원점에서 재평가를 받아야 한다. 부실화가 심해진 기업들은 가뜩이나 자금시장이 녹록치 않은 터에 다시 한번 생존 게임을 벌여야 하게 된 셈이다. ◇ 어떤 기업이 평가 대상에 올랐나 지난해 11월3일 은행권은 여신 500억원이 넘는 287개 문제기업에 대한 생존 여부를 판정했다. 누적 부실을 일시에 털기 위함이었다. 금융당국은 이후 기업 평가방식을 바꿔, 여신 일정액(은행별 10억~30억원) 이상기업을 대상으로 월별로 경영정상화 가능성을 평가하는 '상시평가시스템'을 도입했다. 정부는 상시평가 6개월만에 평가방식을 다시 바꿨다. 대기업의 신속한 구조조정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한 촉진법이 새로운 구조조정 모델로 등장한 것. 촉진법을 토대로 은행권은 500억원 이상 기업중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0 미만 업체 ▦'요주의' 이하 업체 ▦각행별 부실징후 기업으로 분류된 업체 ▦외부감사 결과 한정의견(최근 6개월 이내 감사의견) 등 회계 불합격 판정을 받은 기업들을 1차로 선별했다. 이번에 500억원 이상 세부평가(2차 평가) 대상에 오른 275개 기업은 1차 선별기준에 걸린 '문제 기업' 리스트라 할 수 있다. 275개속엔 ▦워크아웃을 포함한 부실징후기업 47개 ▦법정관리 44개 ▦화의기업 14개 등 기존 부실기업 105개가 포함돼, 명실상부한 부실판정은 170개(종전 정상기업)에 모아질 전망이다. 이밖에 여신 50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에 대해선 상반기 상시신용위험 평가때와 같은 방식을 동원한다. 하반기 평가 대상으론 861개 기업이 꼽혔다. 이번 평가 대상으로 선정된 1,136개 기업(275+861개) 속엔 상반기 평가 대상이었던 1,097개중 733개(66.8%)가 다시 포함됐다. 규모별로는 ▦1조원 이상이 39개 ▦5,000억~1조원 21개 등 중견ㆍ대기업 60개가 포함돼, 이들의 생존 판정 결과가 포커스로 등장할 전망이다. ◇ '문제 기업'들의 진로 1,136개 기업의 진로는 크게 2가지로 나눠진다. 촉진법상평가 대상인 275개는 연말, 늦어도 내년 1월15일까지 2차 평가를 받는다. 2차 평가에선 ▦정상기업 ▦부실징후 가능성이 큰 기업 ▦부실징후 기업 ▦정상화 불능기업 등 4가지로 나누는데, 부실징후 가능기업은 채권단 차원에서 '경영개선권고' 조치를 내려, 대주주 등에 대한 고강도 자구노력을 요구한다. 부실징후 및 정상화 불능기업은 하이닉스반도체와 KDS(코리아디지털시스템)와 같은 절차를 밟는다. 채권단협의회를 개최, 생존 가능하면 하이닉스처럼 지원을, 생존이 불투명하면 KDS처럼 법정관리를 택한다. 이미 법정관리나 화의를 밟고 있는 기업은 은행 차원에서 연말까지 점검을 통해 정상화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청산ㆍ파산 등의 조치를 당하게 된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