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용산개발 좌초땐 1조대 허공으로] 해결 실마리는 서부이촌동에 있다

개발방식 주민의견 수렴땐 대주주간 주도권 다툼 해소<br>중순께 드림허브 이사회서 코레일 지분 양수도 분수령

용산역세권 개발 갈등의 중심에는 서부이촌동 개발 방식이 있다.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의 주도권 다툼도 서부이촌동 개발에 대한 인식차가 핵심이다. 사업성 제고를 위해 철도창 기지와 서부이촌동을 단계적으로 개발하겠다는 코레일과 통합개발을 주장하는 롯데관광개발 측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당초 코레일은 서부이촌동 개발에 회의적이었다. 하지만 지난 2006년 코레일이 사업자 공모에 나서자 '한강르네상스사업'을 추진하던 오세훈 당시 서울시장이 제동을 걸었다. 표류하는 사업을 두고 최근 서울시의 책임론이 수면 위로 부상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특히 서울시가 통합개발에 대한 주민들의 의사를 묻지도 않고 사업을 추진하면서 문제를 더 키웠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렇다 보니 사업시행자 선정을 위한 제안ㆍ수용 동의서를 징구하는 데만 3년여의 시간이 걸렸다.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뒤늦게 서울시가 문제해결을 위해 주민 의견을 묻겠다고 나섰지만 오히려 주민 간 갈등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앞으로 용산개발사업은 두 번의 큰 분수령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달 중순으로 예상되는 드림허브 이사회다. 코레일은 용산역세권개발㈜의 삼성물산 지분을 양도 받는 안이 통과되지 못할 경우 사업에 불참할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관련기사



서울시의 '주민 의견 수렴 방안'에도 이목이 쏠린다. 서울시의 갈등중재로 주민들의 의견이 하나로 모아진다면 드림허브 대주주 간의 갈등도 쉽게 해결될 수 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