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페퍼 미국 ‘외교정책포커스’ 소장은 30일(현지시간) 허핑턴포스트에 실은 기고문에서 “아베 총리는 의도적으로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다”며 “우리의 행동이 아시아의 국민들에게 고통을 안겨다 줬다는 사실을 인정하고는 곧바로 눈을 무역과 안보문제로 돌렸다”고 지적했다.
페퍼 소장은 “독일에서는 홀로코스트 부정이 범죄이지만 일본에서는 반대로 2차대전때의 범죄를 부정하는 것이 수용될 뿐만 아니라 일부 정치인들에게 선거 승리전략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워싱턴 정치전문지인 ‘롤 콜’도 이날자 1면 기사에 “어제 아베 총리의 연설 한가지 눈에 띄게 빠진 것이 있다. 바로 위안부 문제에 대해 명시적으로 사과하라는 요구를 회피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인단체 관계자들과 함께 아베 총리를 규탄하는 시위에 참여했던 티브 이스라엘(민주·뉴욕) 하원의원은 30일(현지시간) 논평을 내고 “아베 총리의 연설에 반성과 희생자들에 대한 존중이 없었던 것이 매우 실망스럽다”며 “아베 총리는 기회를 놓쳤다”고 비판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 버클리대 일레인 김 교수는 이날 미국 CBS 방송에 나와 “아베 총리는 일본의 어두운 역사가 사라지고 미국 교과서에서 실린 역사적 내용이 다시 쓰여지길 바라고 있다”며 “이 같은 일은 어리석은 일이며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베 총리의 연설로 한·일간 과거사 문제도 적당한 선에서 매듭지어야 한다는 압력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올 상반기로 예상되는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를 계기로 미국이 한국에 대해 한·일 정상회담을 조속히 개최하는 쪽으로 압박을 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칼 프리도프 시카고국제문제협회 연구원은 월스트리트저널에 기고한 글에서 “아베 총리의 발빠른 대미 외교로 불편한 한일 관계를 개선해야 하는 박근혜 대통령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박 대통령은 6월 미국을 방문할 때 미국이 한일 관계 개선을 촉구할 것이라는 데 대비해야 한다”며 “만약 박 대통령이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거부한다면 아베 총리의 역사관이 아니라 한국의 고집이 (관계개선의) 문제라는 인식이 더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앨런 롬버그 스팀슨센터 선임연구원은 “아베 총리의 과거사 사과는 애초부터 기대하기 어려웠다”면서 한국에 대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필요한 것은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