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곧게 자라며 사계절 푸르름을 유지해 군자의 절개에 비유되는 죽(竹)은 변하지 않는 가치를 뜻한다. 또한 대나무는 '죽보평안(竹報平安)'이라 하여 평안을 가져다 준다는 의미도 담겨있다. 조선시대의 묵죽을 발전시켜 새로운 화풍을 개척한 해강 김규진(海岡 金圭鎭ㆍ1868~1933)은 1915년 서화연구회를 창설해 현대미술 발전의 다리 역할을 했다.
비중 있는 활동에도 불구하고 이들 근대기 화가에 대한 미술계의 조명은 부족했다. 삼청로 소재 학고재갤러리는 이들을 재발견하는 '소호와 해강의 난죽'전을 2월19일까지 연다. 학고재가 우리의 전통미술에서 한국현대미술의 뿌리 찾기 작업을 지속하는 연례 기획전의 연장선상에서 마련됐다.
난은 조선 초기 주로 왕공사대부들이 그렸고 18세기 이후 널리 유행했다. 19세기에는 추사 김정희, 석파 이하응이 묵란으로 이름을 날렸는데 소호 김응원은 이하응의 난법에서 영향을 받았다. 당시 인기 있던 이하응에게 들어온 그림 청탁을 김응원이 대신해 그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다. 대원군 이하응이 먹의 농담에 변화를 주어 원근감을 표현하는데 반해 김응원은 난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묵색을 사용하는 대범한 경향을 보여 '소호란'이라 불리며 후대의 묵란 화풍에 큰 영향을 끼쳤다.
묵죽화는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문인과 승려화가들이 즐겨 그렸고 조선시대 전반에걸쳐 사랑받았다. 근대의 묵죽화는 이전 시기의 묵죽화풍을 계승하면서도 청대 경향을 본격적으로 수용해 감각적이고 장식적인 화풍을 형성했다. 여기에 크게 기여한 화가가 바로 해강 김규진이다. 그는 자유분방하고 다양한 형태의 대나무를 잘 그렸는데 특히 굵은 통죽에 뛰어났다. 해강은 통죽과 바람에 나부끼는 잎을 배합해 특수한 화면 효과를 냈는데, 한쪽으로 날리는 짧은 댓잎으로 세찬 바람의 느낌을 표현하는 풍죽(風竹) 기법은 당대에 크게 유행했다. 서화의 현대화를 위해 노력한 해강의 화풍은 젊은 시절 죽사(竹士)라 불리며 대나무에 탁월했던 고암 이응노에게로 이어진다.
우찬규 학고재 대표는 "중국, 일본의 자국 근대기 예술품에 대한 애정에 비해 우리는 근대예술에 대해 홀대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가격 면에서 보더라도 문의하는 관객들이 "너무 싸다"고 놀랄 정도로 저평가돼 있는 게 우리 근대기 고미술의 현실"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