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헌빌딩은 북촌마을의 한옥들과 조화를 살리기 위해 노력했다. 한옥 담장과 어두운 재질의 외부 마감을 통해 기존 질서를 유지하려 했음을 느낄 수 있다. |
|
‘주변과의 어울림’
보헌빌딩은 전통 한옥들과의 조화를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했다. 전통의 모습을 간직한 가옥들 사이에 현대적 업무시설을 짓는다는 것이 자칫 기존의 마을 질서 전체를 훼손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기존 시설물들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는 디자인 및 설계에 주안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보헌빌딩은 한옥과 콘크리트 건축의 이질적인 충돌을 전통적인 건축 재료와 인간미를 느낄 수 있는 내부 공간 구성을 통해 해결했다.
형태만으로 한옥을 흉내내는 것은 오히려 북촌마을의 정서를 더욱 해칠 우려가 있기에 더욱 조심했다. 업무시설의 기능을 충족하면서도 전통 한옥의 공간 구성 원칙을 따를 수 있는 평면 구성을 통해 사용자들이 보다 친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보헌빌딩은 한옥 특유의 절제되고 자연적인 질감의 전통 재료와 나지막이 둘러친 건물 주변의 기와담장을 통해 북촌마을과 자연스럽게 융화된다.
건물 중심 진입로로 형성된 열린 축은 건물에 들어서는 사람의 시선을 자연스레 유도하고, 오르막 지형으로 인한 단의 차이는 지하 1층으로 들어서기에 용이하다. 3층 발코니의 조경공간과 옥상조경에서 북촌마을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설계자의 배려가 느껴진다.
중정(中庭)에서 올려본 하늘은 한옥집 마당에서 올려다본 모습과 흡사하다. 1층의 건물 전체를 감싸는 복도는 지하 1층의 중정을 향해 열려있고, 필로티에 의해 시선의 연속성을 가지며 정원길을 걷고 있는 착각에 빠지게끔 한다. 중정으로 쏟아지는 햇볕과 빗소리는 사용자로 하여금 중정이 지하공간이 아닌 마치 집안마당을 바라보고 있는 즐거움을 준다.
1층의 열린 시야는 내외부 공간의 반복으로 어두움과 밝음을 교차 시키며, 각 층의 서비스 부문을 한 곳에 집중시킴으로써 업무공간을 확보했다. 이렇게 확보된 공간은 넓은 건물에서의 내부 공간 감을 갖게 해 사용자에게 마치 대규모 건물에서 일하고 있는 착각에 빠지게 한다. 3층 사무공간의 외부는 한옥 지붕의 경사와 흡사하고 내부는 확장된 느낌으로 활용할 수 있게끔 구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