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건강칼럼] 누워만 있지 말고 척추운동 병행을

출산후 요통

결혼의 계절 가을. 특히 올해는 ‘쌍춘년’이라 어느 해보다 결혼하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결혼하면 아이를 갖게 된다. 여성들이 임신을 하게 되면 입덧은 물론 허리통증을 겪게 된다. 특히 원래 허리병을 갖고 있는 여성의 경우 허리가 더 아파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 임신을 미루기도 한다. 한국여성의 55%가 임신 중의 요통을 겪고 그 고통은 대개 임신 6~7개월 이후부터 시작된다. 특히 임신말기에는 상당한 요통이 나타나는데 이는 태아의 무게만큼 허리에 부담이 더해지기 때문이다. 또 다른 요통의 원인은 임신 중 ‘릴락신’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임신 5개월부터는 이 호르몬으로 인해 허리를 지탱하는 인대가 늘어나 느슨해 지는 것이다. 더욱이 허리디스크병이 있던 임산부라면 더 병세가 악화돼 신경통을 야기할 수도 있다. 임신 중에는 디스크 수핵을 둘러싼 섬유테가 약해져서 쉽게 수핵이 탈출되기 때문에 요통이 악화되기도 한다. 임신을 하려하지만 요통이 있다면 미리 척추 건강운동과 치료를 시행하고 임신한 후에도 허리를 잘 잡아주는 복근과 허리 강화 운동을 해야한다. 평소에도 하이힐은 가능하면 신지 않고, 서 있을 때는 한쪽 다리를 올려놓는 등 허리에 부담이 덜 가는 자세유지에 신경을 쓰는 게 좋다. 중요한 것은 출산 후다. 흔히 간과되기 쉽지만 임신 중에는 조심해 요통 없이 잘 지내다가도 아기를 낳은 직후 요통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다. 젖이나 우유를 먹이면서 무려 3~4kg되는 무거운 아기를 계속해서 들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분만 직후에는 산모의 복근이 늘어져 허리에 큰 부담이 된다. 요통을 예방하고 싶다면 출산 후 몸조리한다고 너무 누워 만 있지 말고 빠른 시간 내 척추운동을 시작해 허리를 단련시켜주어야 배도 단단해지고 자궁도 빨리 원상복귀 된다. 또 아기를 안고 다니는 일은 삼가고 또 아이를 안을 때에는 허리를 굽히지 말고 무릎을 굽히고 업을 때는 등에 딱 달라붙도록 조절해 업는 것이 좋다. 최원규(서울우리들병원장, 신경외과 전문의)wooridul.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