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재개발구역 순례] 가리봉 균형발전촉진지구

첨단산업·친환경 조화 '복합단지' 로<br>디지털단지 인근 8만여평 2011년까지 개발<br>4개권역 나눠 비즈니스 거점·생태공원등 조성<br>내년초 사업자 고시…첫 공영개발 추진 관심


구로디지털단지와 인접한 가리봉 균형발전촉진지구는 2011년까지 정보기술(IT) 등 지식 기반의 첨단산업과 친환경 거주시설이 조화를 이룬 복합공간으로 개발된다. 특히 구로구가 주택공사를 통해 공영개발을 추진 중인데다 주민들의 선호도도 높아 성공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식기반 첨단산업, 주거 복합도시로=균형발전지구로 지정된 가리봉동 일대는 대표적인 낙후지역으로 옛 구로공단 노동자, 지금은 이주 노동자들의 거주지인 일명 ‘벌집촌’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지역이다. 이 지구는 가리봉동 125번지 일대로 면적은 8만4,430평(27만9,110㎡)이다. 구로구는 가리봉 지구를 4곳으로 나눠 개발, 서남권의 균형발전을 유도하는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공단로 서측의 중앙구역은 디지털산업단지를 지원하는 전략 비즈니스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호텔, 소규모 컨벤션, 업무지구, 연구개발(R&D)센터 등을 입주시킬 계획이다. 또 산업단지에 고급인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특수 교육기관 및 창업보육센터 등 유치할 방침이다. 지하철 7호선 남구로역 남측구역엔 고층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선다. 남구로역 서쪽 가리봉2동 일원과 공단로 동쪽의 낙후된 주거공간을 쾌적하고 여유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도심형 주거공간으로 조성해 삶의 질을 높이고 직주(職住)근접을 실현할 계획이다. 또 가리봉 지구 남측을 통과하고 있는 남부순환도로 고가 560미터를 2008년까지 지하화해 지역 및 디지털 산업단지간 단절을 해소할 계획이다. 지하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1만평의 상부 토지에는 대규모 생태공원이 조성된다. ◇공영개발 추진, 성과 관심=가리봉 균형발전촉진지구는 균촉지구 가운데 최초로 공영개발이 추진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구로구청은 올해 3차례의 주민설문 결과 공공주도의 개발 찬성 의견이 77.6%로 높게 나타났다. 구로구는 이를 바탕으로 지난 7월말 65명의 지역 대표로 구성된 주민대표협의회를 구성, 발족식을 가졌다. 주민대표협의회에서도 공공시행 찬성의견이 84%에 달했다. 이후 우선협력 시행자선정 작업에 들어가 공사를 대상으로 우선협력 시행자 참여 의향서를 접수했다. 현행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에 따르면 주택공사와 SH공사가 시행사로 지정이 가능하다. 그 결과 단독으로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주택공사를 대상으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구로구청은 현재 주택공사를 대상으로 우선협력시행자 선정에 관한 협의 및 내부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구로구는 현재 올해 말을 목표로 정비구역 지정을 추진 중이다. 정비구역지정이 완료되면 정비구역 안의 토지면적 2분의 1이상의 토지소유자와 토지등 소유자의 3분의 2 이상에 해당하는 자가 구청장 또는 주택공사 등을 사업시행자로 지정할 것을 요청하는 절차 등을 거쳐 이르면 내년 1월 사업시행자로 지정ㆍ고시할 예정이다. 구로구청 김덕연 팀장은 “공영개발을 통해 가리봉 일대를 첨단비즈니스와 주거시설이 어우러진 첨단 도시로 탈바꿈 시킬 계획”이라며 “오는 27일께 주택공사와 업무협약을 맺을 예정”이라며 밝혔다. ◇개발 기대감 커, 주민협조가 관건=가리봉 균형발전지구에는 현재 6,209세대가 거주하고 있다. 정비사업을 통해 5,526세대로 줄어 들게 된다. 이중 임대주택은 829가구가 건립될 예정이다. 분양주택 규모는 전용 40㎡미만, 40~60㎡미만, 60~85㎡미만, 85㎡이상이 각각 24.0% : 29.6%, 40.1%, 6.2%로 구성된다. 임대 주택은 전용 40㎡미만, 40~60㎡미만, 60㎡이상이 11.3%, 15.7%, 73.0%다. 가리봉 일대는 주거ㆍ상업시설이 밀집, 많은 주민들이 이주 노동자 대상 임대료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곳이다. 따라서 재개발에 따른 임대수익이 불가능해질 경우 주민들의 동의를 얻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략시설인 호텔과 컨벤션 센터 등의 유치가 제대로 이뤄질 지가 미지수다. 이 시설들은 도시정비사업 후 해당 지역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다. 이런 시설이 들어서지 못하면 당초 취지와 달리 단순한 주택 재개발 사업 수준에 그칠 수도 있다. 인근 한 부동산 중개업자는 “시행사 선정이 임박하면서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가격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주택소유자 가운데는 매월 임대료로 살아가는 주민이 많아 개발이 계획대로 진행될 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