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대가 밝혀낸 '논문조작 연루자' 역할

황우석 교수가 줄기세포 논문조작은 전적으로 미즈메디 병원 소속 연구원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함에 따라 논문 조작의 주체 및 책임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황 교수는 12일 기자회견에서 배반포 단계 이후 줄기세포의 배양과 수립을 책임졌던 김선종, 박종혁 연구원 등 미즈메디 병원측이 논문 데이터를 조작했고 자신들은 이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다 `누명'을 쓰게 됐다고 주장했다. 황 교수는 그러나 이 회견에서 서울대 조사위원회가 최종 보고서에서 황 교수의최측근인 강성근 교수와 권대기 박사과정 연구원의 논문 조작 개입 가능성을 적시했음에도 이같은 부분은 언급하지 않았다. 조작논란에 휩싸여 있는 `핵심 인물'들이 2004년, 2005년 논문에서 어떤 역할을했는지 서울대 조사위 보고서를 토대로 정리해 본다. ◇ 김선종 연구원 = 조사위는 2005년 논문에서 세포배양 및 DNA 검사 등 중책을맡았던 김선종 연구원이 이 논문의 사진 및 DNA 검사 조작에 관여했다고 확인했다. 조사위는 보고서 11쪽에서 "김선종 연구원이 황 교수의 지시에 따라 2,3번 세포주 사진을 여러 장 찍어 4번에서 11번까지의 사진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같은 페이지에서 김 연구원이 논문 속 면역염색 사진 역시 2번, 3번세포주를 여러 번 찍는 방법으로 11번 세포주까지의 사진 데이터를 날조했다고 확인했다. 조사위는 또 이 페이지에 DNA 분석 과정을 기술하는 대목에서는 김 연구원이 2,3,4,5,6,7,8,10,11번 세포 샘플을 권 연구원에게서 받아 분석 의뢰를 맡겼다고 기술했다. 논문에 나오는 이들 DNA 데이터는 모두 허위로 드러났다. ◇ 박종혁 연구원 = 미즈메디 병원 출신으로 2004년 논문에서 줄기세포 배양과검사 의뢰를 맡았던 박 연구원은 조사위에 "실수"로 논문의 데이터가 결과적으로 조작됐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보고서 23쪽에서 미즈메디측 수정란 줄기세포 사진을 대신 쓴 논문 속염색사진 데이터에 대해 "박종혁 박사는 그 당시 Molecules and Cells 지에 투고할논문과 졸업논문을 동시에 준비하면서 (문제의 사진을) 사이언스 논문에 넣는 실수를 범한 것으로 진술했다"고 밝히고 있다. 조사위는 또 논문의 테라토마(기형종) DNA 조작에 대해 보고서 26쪽에서 박 연구원이 황 교수측에게서 테라토마 조직을 받아 DNA를 추출한 뒤 국과수 서부분소에의뢰를 맡겼으나 자세한 역할 관계에 대해서는 관련자의 진술이 엇갈려 사실 확인을할 수 없었다고 적었다. 조사위 보고서에 따르면 박 연구원은 테라토마 조직을 `황교수측으로부터 받은 것으로 돼 있다. 이와 관련, 박 연구원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줄기세포 조작이 있었다는 사실을 전혀 몰라 나 자신도 피해자"라며 "검찰 조사에서 적극 변론 한 뒤 황 교수측에게 (이번 사안에 대해) 대응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 유영준 연구원 = 황 교수측은 2004년 논문에서 줄기세포 보관 및 데이터 정리 등 실무 총책을 맡은 유영준 전 연구원이 해당 논문의 조작에 개입했다고 몰아세우고 있다. 반면 서울대 조사위 보고서에서는 황교수측의 주장대로 유 연구원이 조작에 연루돼 있음을 시사하는 내용이나 언급이 나와있지 않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 연구원은 "연구수행(난자 운반, 줄기세포 보관, 반출입 등관리담당), 데이터 정리 및 논문 초고 작성"이란 중책을 맡았다. ◇ 윤현수 교수 = 조작 논란에 휩싸인 미즈메디측 인사 중 가장 `상급자'인 윤현수 한양대 교수는 대학에 부임한 2005년 2월 이전에는 미즈메디 병원 의과학연구소장 신분으로 황 교수팀 연구에 참여해 테라토마 관련 실험을 맡았다. 조사위는 보고서 12쪽에서 윤 교수가 2005년 논문의 2번 줄기세포를 직접 SCID마우스(면역결핍 쥐)에 주사해 테라토마 조직을 얻은 것으로 밝혔다. 이 세포주는 검증 결과 논문 속 줄기세포가 아닌 것으로 밝혀져 윤 교수는 테라토마 실험 당시 이 사실을 알고 있었는 지 여부를 해명해야 할 상황이다. 윤 교수는 또 보고서 24쪽에서 2004년 논문의 줄기세포도 SCID 마우스에 주사한것으로 나온다. 이 시술로 적출된 테라토마는 이후 어떤 용도로, 누구에 의하여 사용되었는 지 확인되지 않았다고 조사위는 적고 있다. ◇ 이양한 분석실장 = 전남 장성에 위치한 국립과학수사연구소(국과수) 서부분소의 이양한 분석실장은 논문 저자는 아니지만 역시 조사위 보고서에서 논문 조작과정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오는 인물이다. 조사위는 보고서 24쪽에서 2004년 논문의 줄기세포 DNA 데이터는 2003년 5월, 8월, 10월에 이 실장이 시행한 분석결과에 기초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실장은 분석 당시 이들 시료의 조작 여부를 알고 있었는 지, 실제조작에 개입했는 지에 대해 해명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실장은 황 교수팀의 윤현수 교수와 대학교 선후배 사이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황 교수팀은 2005년 논문의 DNA 분석도 이 실장이 있는 국과수 서부분소에 의뢰했다. 그러나 조사위는 2005년 논문의 DNA 검사 경위를 설명한 보고서 11쪽, 12쪽에서는 황 교수측이 조작된 DNA 시료를 `국과수 서부분소'에 맡겼다고만 기술해 이 실장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지 않았다. ◇ 권대기 연구원 = 조사위는 보고서 12쪽 2005년 논문의 DNA 검사 과정을 설명하는 대목에서 권 연구원이 4,5,6,7,8,10,11번 세포주를 환자 체세포만을 둘로 나눈가짜 시료로 조작해 김선종 연구원에게 연구 의뢰용으로 건네줬다고 확인했다. 권 연구원은 또 같은 논문의 세포 면역 적합성(HLA) 검사에서도 4번에서 15번까지 줄기세포를 체세포만 둘로 나누는 수법으로 검사용 시료를 만들어 김 연구원에게전달한 것으로 조사위 보고서 13쪽에 나와있다. 권 연구원은 연구실 박사과정생 중 황 교수의 가장 큰 신뢰를 받았으며 2005년논문에서 줄기세포의 반출입을 맡는 `줄기세포 팀장'의 중책을 맡았다. 그는 해당 논문에서 황 교수, 노성일 이사장, 이병천 교수, 강성근 교수의 뒤를이어 제 5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 강성근 교수 = 황 교수의 `오른팔'인 강성근 교수는 권 연구원의 배후에서데이터 조작 명령을 내린 인물로 조사위 보고서에 나온다. 조사위는 권 연구원의 HLA 검사 조작 개입을 기술한 보고서 대목(13쪽)에서 권연구원이 "강성근 교수의 지시를 받아" 이 같은 부정을 행한 것으로 적고 있다. 강 교수는 2004년 논문에서 실제 논문 작성을 맡았고 2005년 논문에서는 실험데이터를 모아 미국의 제럴드 섀튼 교수와 교신을 맡는 등 두 논문에서 연이어 실무총책을 담당했다. 이에 따라 강 교수는 이들 논문에서 계속 중책을 맡으면서 두번에 걸쳐 반복된연구조작을 과연 전혀 몰랐는 지 추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 황우석 교수 = 조사위는 황 교수가 2005년 논문에서 김선종 연구원에게 직접사진 조작 지시를 내린 것으로 보고 있다. 조사위는 보고서 11쪽에서 "2005년 사이언스 논문 그림 1 및 부속그림 1의 면역염색 사진은 김선종 연구원이 황 교수의 지시에 따라 2,3번 세포주 사진을 여러장찍어 4번에서 11번까지의 사진을 만들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황 교수는 또 조사위 보고서 13쪽에서는 같은 논문의 그림 3 및 부록 그림 3의줄기세포 배아체 형성 모습을 위해 직접 김 연구원을 시켜 미즈메디 병원 수정란 줄기세포의 사진으로 허위 데이터를 만든 것으로 나온다. 조사위는 또 2004년 논문 실험 경위를 설명한 보고서 25쪽에서 서울대 의대 정두현 교수가 황 교수로부터 내역을 알수 없는 테라토마 파라틴 블록을 받아 슬라이드 제작 및 사진 촬영을 했다고 밝혔다. 정 교수가 찍은 사진 중 4장은 2004년 논문에 쓰인 것으로 조사위는 잠정 추정하고 있다. 정 교수는 이후 이 블록과 슬라이드를 황 교수에게 반납했으나 황 교수는 이들을 보관하지 않고 있다고 조사위에 진술했다. 이에 따라 황 교수는 왜 이 주요 실험시료를 제대로 간수하지 못했는 지 등에 대해 해명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