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환율 불안정에 은행권 외화예금 급증

원ㆍ달러 환율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면서 은행권 외화예금이 급증하고 있다. 급등세를 보이던 환율이 다소 진정되고 있지만 유럽 재정위기가 언제 수면 위로 다시 떠오를지 모르기 때문에 기업들이 미리 외화를 사들이고 있는 것이다.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ㆍ신한ㆍ우리ㆍ하나ㆍ기업은행 등 5개 주요 은행의 외화예금 잔액은 지난 10월 말 기준 170억9,300만달러로 집계됐다. 9월 말에 비해 24억3,400만달러(16.6%)가 급증한 것으로 이는 2009년 말 통계 집계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특히 무역수지 흑자규모가 10월보다 30억달러가량 많았던 7월의 외화예금 증가액 11억8,000만달러에 비해서는 2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원ㆍ달러 환율은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강등과 유럽 재정위기 등의 악재가 불거지자 8월 초 장중 1,040원대에서 10월 초 1,200원선까지 가파르게 상승했다. 그러다 통화스와프 확대 등의 조치가 취해지자 지난달 말 1,100원 밑으로 떨어졌다. 이달 들어서는 환율이 1,120~1,130원 사이에 머물고 있어 지난달 외화예금에 가입한 고객은 환차익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반면 지난달 말 외화대출은 154억5,600만달러로 전월보다 7,300만달러 줄어들면서 넉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환율급등이 재연되면서 환차손을 우려한 기업들이 외화대출 상환을 늘렸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외화예금이 늘어난 것은 투자수요 감소로 기업들의 여유자금이 늘어난데다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환차익을 위한 예수금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