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문제는 주민등록번호 유출이야

임세원 기자 <경제부> why@sed.co.kr

"주민등록번호 유출이 얼마나 큰 문제인지 정부가 모르는 것인지. 알면서도 외면하는 건지 답답합니다. 얼마나 많은 해커와 대출모집인들이 주민등록번호를 사고파는지 알기나 하는 것인지…."


우리나라 1세대 보안학자인 문송천 카이스트대 교수는 정부의 개인정보 유출 대책에 '핵심'이 빠졌다고 일침을 놨다. 내부 직원이나 해커를 통한 정보유출을 완벽하게 막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출된 주민등록번호가 활용될 수 없도록 번호를 새로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주민등록번호가 민감한 정보가 아니라고 해명하지만 일생동안 개인의 모든 활동과 연결된 주민번호야말로 최고의 '민감정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관련기사



기자가 문 교수를 만난 지 며칠 후 보험회사의 고객정보가 대출모집인에게 팔린 사실이 드러났다. 경찰이 입수한 고객정보 가운데는 하나은행·우리카드·러시앤캐쉬 등 금융회사 이름표를 단 고객의 주민등록번호 등 10여만건도 있었다. 확인한 결과 해당 금융회사의 고객정보와 일치하지 않았다. 해당 금융회사의 대출모집인에게 팔기 위해 솎아낸 정보 목록이라는 게 당국의 추정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개인정보를 유출하거나 그걸로 돈을 번 금융회사의 문을 닫겠다고 엄포를 놨다. 하지만 고객정보가 유출됐으되 출처가 불분명한 이번 사건에는 적용될 수 없다. 주민등록번호는 새나갔지만 금융당국이 민감하게 여기는 카드 뒷면의 보안번호(CVC)가 나가지 않아 관심도 적은 편이다.

문 교수 이외에도 주민등록번호 재부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보안전문가는 여럿이다. 심지어 금융당국 내부에서도 현장을 오래 겪어본 사람들은 수년 전부터 같은 주장을 폈다. 하지만 범정부 종합대책에는 이 같은 내용이 빠졌고 대책을 내놓은 후에도 끊임없이 개인정보 유출사건은 쏟아져 나오고 있다. 문 교수는 결국 자신의 생각을 한 장짜리 문서로 만들어 국무총리실과 금융당국에 전달했다. 돌아온 답은 '우리 소관이 아니다'거나 묵묵부답뿐. 개인정보를 바라보는 우리 정부의 현주소다./why@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