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베어마켓펀드, 급락장서 이름값

단기급락에 수익 내는 구조…전문가들 “포지션 분산차원 투자, 집중투자 금물”


8월 들어 주가가 단기간에 큰폭으로 주저 앉으면서 하락장에 베팅하는 '베어마켓 펀드'가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최근 한달 간 베어마켓 펀드의 수익률은 22.16%로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펀드 수익률(-18.41%)보다 무려 40%포인트 높은 성적을 거뒀다. 8월 초 코스피 2,000선이 순식간에 붕괴된 뒤 1,700선까지 무너지는 2차 급락장이 펼쳐지면서 이들 베어마켓펀드가 높은 수익률을 올렸다는 분석이다. 최근 6개월, 연초 이후 수익률에서도 베어마켓펀드는 각각 12.31%, 18.66%를 기록해 같은 기간 국내주식형펀드 수익률(-11.21%, -14.11%)과 대조를 보였다. 개별 펀드별 최근 한달 수익률을 살펴보면, ‘미래에셋맵스TIGER인버스상장지수(주식-파생)’ 등 상장지수 펀드(ETF) 3종이 22%대의 수익률을 거둔 것을 비롯해, ‘한국투자엄브렐러리버스인덱스 전환 1(주식-파생)(A)’(22.84%), ‘우리마이베어마켓1(주식-파생)A’(22.82%) 등도 높은 성적을 기록했다. ETF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인 ‘한국투자엄브렐러리버스인덱스 전환 1(주식-파생)(A)’는 주가지수선물의 기초지수 수익률을 -100%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로, 선물의 매도포지션을 위한 증거금(15%)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현금자산으로 운용하면서 추가수익을 확보했다. 한국운용 측은 “이 펀드는 (목표달성 정도나 시장 상황에 따라) 펀드 간 전환이 가능한 엄브렐러펀드였기 때문에 지수 추적오차를 최소화하면서 시장에 대응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처럼 베어마켓펀드가 하락장에서 진가를 발휘하면서, 5월 309억원, 6월 280억원, 7월 91억원이 순유출됐던 이 펀드에는 8월 들어 807억원이 몰렸다. 그러나 베어마켓펀드는 '포지션 분산 차원'에서 이뤄져야지, 집중투자에 나섰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이라는 지적이다. 이계웅 신한금융투자 글로벌리서치팀장은 "베어마켓펀드는 주로 전문가나 여러 자산분배 구조를 가진 투자자가 '올라갈 때 먹는 구조 상품'과 별개로 가입한다"며 "일시적인 하락장에 대비해 수익률 상쇄를 목적으로 가입하는 성격이 큰 만큼 ‘올인’투자를 했다가는 손실 폭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단기간 큰 폭으로 주가가 하락할 때 수익을 내는 베어마켓펀드의 특성상 이들 펀드의 장기 수익률은 2년 -12.09%, 3년 -32.73%, 5년 -38.16% 등으로 저조했다. 개별 펀드별로 살펴봐도 설정 후 수익률이 -60%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었다. ▦용어설명 베어마켓펀드 : ‘약세장’, ‘하락장’을 뜻하는 베어마켓(bear market)에 투자하는 펀드로, 주가지수선물을 매도하거나 풋옵션을 매수하는 방식을 사용해 지수가 하락했을 때 수익을 내는 구조로 설계됐다. 주가와 반대로 수익률이 나기 때문에 '리버스펀드', '청개구리펀드'로도 불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