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이영하 사장 "2015년 유럽 생활가전 1위"

이영하 LG전자 HA사업본부장 사장 기자간담회


이영하 사장 "2015년 유럽 생활가전 1위" 'IFA 2011'… 삼성·LG 기자간담회 스마트 기술 앞세워 세탁기·냉장고 점유율 각각 13%, 12.5% 달성현지 라인 추가 증설도 베를린=김흥록기자 rok@sed.co.kr 이영하 LG전자 홈어플라이언스(HA)사업본부장 사장이 "오는 2015년 유럽 냉장고ㆍ세탁기 시장에서 1위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 사장은 IFA 2011 개막을 하루 앞둔 1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서비스센터 불만의 30%는 사용법을 설명해주면 해결된다"며 "이 같은 문제를 간단히 해결하는 스마트 진단기능 등 LG의 스마트 기술을 앞세우면 유럽 가전시장 1위가 가능하다"고 자신했다. 그는 그러나 "2015년에 냉장고와 세탁기가 유럽 1위로 올라선다 하더라고 다른 업체와 점유율 격차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현지에서 오랫동안 터를 닦은 보쉬나 밀레 같은 유럽 업체들과의 경쟁이 그만큼 강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대부분의 세계 가전업체들이 스마트 그리드 등 절전기능은 공통적으로 추진하는 상황에서 LG 냉장고는 음식물을 인식하고 음성을 통해 작동할 수 있는 차별화된 기능을 갖추고 있다"며 "세탁기의 스마트 진단기능도 불필요한 서비스 인력 출장이나 그로 인한 비용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미국과 한국에서 검증했다"고 차별성을 강조했다. 이 사장이 2015년까지 목표로 내세운 유럽시장 점유율은 빌트인을 제외하고 세탁기와 냉장고가 각각 13%, 12.5%다. 현재 LG전자는 유럽지역에서 세탁기 6~7%, 냉장고 8%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관련, LG전자는 이번 IFA 참가에 맞춰 LG만의 스마트가전 기술을 총칭하는 '스마트 씽큐 (Smart ThinQ™)'라는 개념을 도입, 각 제품에 적용했다. '스마트 씽큐'는 ▦냉장고의 저장음식을 관리하는 스마트 매니저 ▦제품의 오류를 스마트폰으로 즉각 알 수 있는 스마트 진단 ▦전원과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액세스 ▦조리법이나 세탁코스를 내려 받아 업그레이드하는 스마트 어댑트 등 4가지 솔루션이 핵심이다. 이와 함께 이 사장은 "현지화 전략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2015년까지 추가 라인 증설 등에 3,400만달러를 단계적으로 투입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과 중국에서 공급하던 물량 일부를 현지 체제로 전환해 원가 경쟁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앞서 LG전자는 지난해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의 냉장고 생산 라인을 기존 30만대에서 100만대 규모로 증설하고 세탁기 라인도 100만대 규모로 신설해 올 하반기부터 가동을 시작했다. 최근 세계 가전업계의 흐름이 된 스마트그리드 가전 투자에 대해 이 사장은 "미국이나 유럽 등 각각 전력표준이 있기 때문에 이에 맞춰 범용으로 쓸 수 있도록 허브ㆍ통신시설 등을 개발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투자 방향을 제시했다. 최근 대우엔텍을 인수하는 등 수처리 분야에 진출한 것과 관련, 그는 "기존 사업이나 헬스케어는 대규모 인수합병(M&A)보다는 필요한 부분에 대한 아웃소싱 등을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사장은 또 "통상 원자재 가격 반영이 6개월 걸리는 만큼 오는 4ㆍ4분기나 내년부터는 수익성이 나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동차 & IT] 앗! 내가 몰랐던 정보들도 가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