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자정부' 특수 온다

내년까지 IT관련 수천억 프로젝트 발주 >>관련기사 내년 말로 예정된 전자정부 구축시한을 앞두고 정보통신업계에 전자정부 관련 특수가 불고 있다. 이미 연말까지 중앙부처ㆍ지방자치단체ㆍ공공기관들이 1,000억원대의 정보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내년에도 중앙정부차원에서만 최소한 2,000억원대의 시스템 통합, 전산망 구축 등 IT관련 사업을 발주할 예정이다. 또 전자정부 프로젝트가 끝나면 원스톱 민원서비스 체제가 구축돼 일반 국민들의 편리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기업경영을 묶어 온 행정절차상의 각종 규제도 자연스럽게 줄어들어 침체된 경제를 자극하는 효과까지 기대되고 있다. 19일 기획예산처와 정보통신업계에 따르면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들이 건강보험ㆍ국민연금 등 4대보험 통합과 주민ㆍ부동산 등 5대 민원정보 통합 등 전자정부 관련 프로젝트들을 내년 말까지 발주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정보통신업계에는 전자정부 관련 특수가 본격적으로 불어닥칠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와 4대 보험공단은 보험정보시스템을 통합, 정보를 공동 이용할 수 있는 정보화 전략계획 사업자 선정일정을 이달 초 공고했다. 행정자치부도 약 200억원 규모의 시ㆍ군ㆍ구 행정종합정보화 프로젝트 사업자를 다음달 선정할 계획이고 교육인적자원부는 90억~95억원 규모의 교육행정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업계획을 수립 중이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해 교육인적자원부가 기획예산처에 739억원의 내년 예산을 요청했다. 이밖에 조달청의 통합전자조달 시스템 구축(439억원), 행자부의 시군구 행정종합정보화(346억원) 등 11개 전자정부 과제에 각 부처의 예산요구액은 총 2,700억원에 이른다. 중앙정부 외에도 지자체와 공공기관도 전자정부의 사업에 발맞추어 각종 정보화 관련 사업들을 발주하고 있다. 이에 삼성SDSㆍ핸디소프트ㆍ소프트 와이즈ㆍ나눔기술ㆍ한국정보공학ㆍLG-EDS 등은 전담팀을 만들거나 관련 분야의 연구ㆍ실사 용역을 수주하는 등 참여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온종훈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