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특정부문 부실위험땐 집중감독

금감위, 획일적 방식 탈피금융회사의 자산규모에 따라 획일적으로 이뤄지던 금융감독당국의 검사ㆍ감독이 앞으론 회사별로 부실 위험이 높은 사업영역에 대해 집중된다. 이에 따라 아무리 재무상태가 좋은 곳이라라도 특정 사업부분의 미래 손실 가능성이 높으면 감독당국의 집중 관찰 대상이 된다.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은 10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금융공학연구센터 주최의 '위험관리 최고경영자 포럼' 강연에서 "금융회사들은 이른 시일 내에 종합ㆍ체계적인 리스크관리시스템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감독당국도 빠른 시일내 리스크 중심의 감독체계를 도입ㆍ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감독ㆍ검사권이 과거 경영성과에 집중됐고, 인력도 금융사별 자산에 따라 획일 책정됐다"며 "앞으론 금융사들의 사업부문별 위험도를 사전 측정, 문제별로 검사ㆍ감독이 집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A은행과 B은행의 자산규모가 같다면 과거엔 신탁ㆍ여신 등 부문별로 똑 같은 감독인력을 투입했으나, 앞으로는 해당 은행의 취약한 부분을 사전 파악, 인력 구성을 달리하겠다는 것이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