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국계 IB, 국내 ELS시장서 수천억 챙겨"

국내 증권사는 단순 중개역할이 대부분

지난해 주가연계증권(ELS) 시장이 활성화되면서이 증권을 발행하는 외국계 투자은행(IB)들이 지난해에만 수천억원을 챙겨간 것으로추정됐다. 이에 비해 국내 금융사들은 아직 ELS증권을 발행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해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데도 불구, 중개 역할에만 머물러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 외국계 IB 얼마나 챙겼을까 =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해 ELS 시장이 무려 20조원 규모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ELS를 만들어 국내 증권사에게 판매해온 세계 유명 IB들이 ELS 발행액의 3% 수준인 6천여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업계 관계자는 "이론적으로는 발행규모의 5% 정도이지만 최근 경쟁이 치열해지고 시장도 성숙해지면서 일률적이지는 않지만 전체의 3% 정도를 트레이더마진과 판매마진 조로 챙겨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결국 산술적으로 지난해 6천억원 정도를 가져간 셈이 된다"고 말했다. ELS 시장에 실제로 유입된 자금 규모가 10조원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이중 5%이상을 외국계 IB들이 가져간 셈이다. 이와 관련, 최근 3년 동안 한국 기업이 미국 퀄컴사(社)에 지불한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기술 관련 로열티 금액이 1조4000억 원 정도로, 한해 평균 5천억원 정도였다. ELS는 UBS와 모건스탠리, 바클레이즈, CS, 리만 브라더스 등 28개 유명 IB들이삼성증권,한국투자증권, 대우증권 등 총 9개 증권사에 팔고 있으며 국내 증권사들은이를 직접 또는 은행이나 자산운용사를 통해 국내 투자자들에게 팔아왔다. ◇ 국내 증권사들은 ELS 만들 수 없나 = 외환은행과 우리투자증권, 대우증권 등일부 국내 증권사 또는 은행들도 ELS를 만들고 있지만 아직 초보 단계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ELS를 만들려면 헤지모델을 만들어야하는데 여기에는 금융공학과 컴퓨터사이언스에다 시장의 흐름에 맞춰 매매할 수 있는 트레이딩 역할까지 요구해 국내 인력으로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국내 일부 증권사와 은행 등이 직접 만든 ELS를 판매하다 큰 손실을 보고 판매자체를 포기하기도 했으며 일부 외국계 유명 IB들도 큰 손실을 입은 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최근 국내에서 ELS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외국 유명 IB들이 장외파생상품시장에서 일하는 국내 인력들을 상당수 스카우트해가는 바람에 국내 증권업계는 이같은 파생상품을 만들 수 있는 인력이 극히 부족하다고 업계는 전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ELS시장이 전해에 비해 100%이상 성장하는 등 급팽창하는데 비해 국내 업계는 이에 제대로 대처를 못한 셈"이라면서 "현재 외국계가챙겨가는 것은 수업료라고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