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다시 불붙은 색깔논쟁 與野 전면전 비화 우려

朴대표 "정부 정체성 의문" 직격탄에 與 "구시대적 공세" 맹비난

여야가 친일진상 규명ㆍ북한 선박 북방한계선(NLL) 침범 등 정책현안을 놓고 현격한 입장차이를 드러내면서 정가에 짙은 전운이 감돌고 있다.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아예 ‘전면전’이라는 말까지 구사하면서 일전을 벌일 태세이며 여당은 일단 맞대응을 자제하면서도 ‘신 색깔논쟁’의 배경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가에서는 박 대표가 여권의 국정 난맥상을 틈타 자신의 색깔을 분명히 드러내기 위해 강공전략이라는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분간 정국은 급격한 냉각국면으로 치달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22일 “노무현 대통령의 개혁방향이 틀리지 않았느냐”며 “개혁이란 국민이 더 잘 살게 하는 것인데 지금은 개혁의 목표가 변질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도 높게 성토했다. 박 대표가 노 대통령을 직접 거론하며 비판한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박 대표는 이날 염창동 당사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의에서 “대한민국 정통성을 훼손하고 나라를 부정하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면서 “야당이 정부의 잘못된 것을 견제하고 대안을 내놓은 것을 넘어서 나라를 바로잡고 근간을 지키는 것까지 해야 하지 않느냐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 발생한 의문사 진상위 파문이나 국가보안법 개폐, 송두율씨 무죄판결 등 최근 일련의 사태에 대한 강한 불만을 드러낸 것이다. 박 대표는 이어 “집권층 사람들이 창조ㆍ발전 보다는 근본을 흔들며 파괴하고 허무는 쪽으로 가고 있다”며 “헌법에서 규정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는 양보할 수 없는 가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대표는 또 “일에는 우선순위가 있는데 정부가 경제 살리기 등 시급한 일은 뒷전으로 미루고 국민 갈등을 증폭시키는 일만 벌이고 있다”면서 국가보안법 개폐ㆍ선거법 개정ㆍ언론개혁ㆍ과거사 조사ㆍ행정수도 이전 등 여권의 정책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박 대표는 대통령이 침묵하지 말고 의문사진상조사위의 발표와 한나라당이 경제 살리기를 위해 제시한 감세정책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열린우리당은 박 대표가 당 안팎의 보수세력 압력에 편승해 강성발언을 잇따라 터뜨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면서 “구시대적 정치공세이자 색깔논쟁”이라고 비판했다. 김현미 대변인은 “민주주의에 대한 철학도, 뒷받침할 만한 삶도 없는 사람들의 정치공세이자 색깔 논쟁”이라면서 “구체성과 알맹이 없는 대표적 정치인”이라고 박 대표를 몰아 붙였다. 민병두 기획위원장도 “과거 정당지도자가 ‘전면전’이란 용어를 쓴 적이 있느냐”며 “탈 권위주의 시대에 약간의 일탈을 전체적인 문제로 여겨 공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반박했다. 신기남 당 의장은 “대화ㆍ상생하자던 박 대표의 전면전 발언은 생경하다”면서 “박 대표가 아직도 큰 정치, 상생의 정치라는 화두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해 말 그대로 ‘전면전’에 말려들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였다. 여권 관계자는 “박 대표가 새 대표 취임 이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고 친일파 문제 등 껄끄러운 현안을 일거에 해결하기 위해 대여 강경투쟁 방침을 채택한 듯하다”면서 “양당 대표회담까지 거부하는 등 애써 일궈온 상생정치를 송두리째 흔들려는 의도를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같은 양당의 색깔공방에 대해 민주노동당의 노회찬 의원은 “여야의 싸움이 그리 오래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틈만 나면 다시 짝짝궁의 관계로 돌아갈 것이다”고 냉소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