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국은 자영업의 나라

■2010년 경제 총조사<br>개인 사업체 비중 83.2%… 도·소매업 26%로 가장 많아<br>매출은 고작 11%로 영세, 종사자수도 2.5명에 불과


전국 사업체 10개 중 8개 이상은 개인사업체이지만 이들의 연간 매출액은 전 사업 매출액의 10분의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사업체의 대부분을 근근이 버티는 영세한 자영업자들이 꾸려가고 있는 셈이다. 통계청은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0년 기준 경제총조사 잠정결과'를 발표했다. 경제총조사는 우리나라 전 산업의 고용ㆍ생산ㆍ투입 등을 동일 시점에서 통일된 기준으로 조사한 5년 주기 대규모 전수조사로 올해 최초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사업체 수는 335만5,000개로 이 가운데 개인사업체가 279만3,000개(83.2%)로 가장 많았다. 이어 회사법인이 35만3,000개(10.5%), 비법인단체 11만6,000개(3.5%), 정부 조직 등 회사 이외 법인은 9만4,000개(2.8%)로 조사됐다. 개인사업체는 수는 많지만 조직 구성이나 매출액 등의 측면에서는 매우 영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개인사업체의 업체당 종사자 수는 2.5명으로 전 산업의 업체당 종사자 수인 5.3명의 절반도 안 됐다. 2010년 기준 전 산업의 연간매출액(4,283조9,820억원)에서 개인사업체의 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11.3%에 그쳤다. 반면 사업체 수 비중이 10.5%에 그친 회사법인이 한 해 벌어들인 돈은 전체 산업 매출액의 77.6%나 됐다. 종사자 규모에서도 5명 미만인 사업체가 전체 산업의 83.6%에 달했다. 통계청의 한 관계자는 "사실상 개인사업체와 5명 미만 사업체가 거의 겹친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사업체 대표의 남성과 여성 비율은 6대4로 나타났으며 근로자 비율도 이와 비슷했다. 여성 대표가 많은 업종은 숙박ㆍ음식업이었고 여성 근로자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은 보건ㆍ사회복지 서비스업이었다.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이 26.1%를 차지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숙박·음식업, 개인서비스업, 운수업, 제조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매출액은 제조업이 34.2%를 차지해 가장 규모가 컸다. 근로자를 가장 많이 고용한 분야도 제조업이었다. 한편 사업체의 시도별 구성비를 보면 서울이 21.7%로 가장 높고 이어 경기(20.5%), 부산(7.7%), 경남(6.7%) 등의 순이었다. 인천(4.9%)을 포함한 수도권에 전체 사업체의 47.1%가 몰려 있었다. 연간 매출액 역시 수도권 비중이 54.2%에 달해 산업의 수도권 집중도가 매우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