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어뢰 위 '1번' 글씨 멀쩡한 이유는…"

송태호 카이스트 교수 "폭발 당시 0.1℃도 상승 안 해 손상 없었다"


민군 합동조사단이 천안함을 공격했다고 밝힌 북한의 어뢰추진체에 적혀 있는 '1번' 글씨가 멀쩡한 데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송태호 교수는 2일 국방부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어뢰추진체에 쓰인 '1번' 글씨의 온도는 폭발 당시 0.1℃도 상승하지 않았다면서 1번 글씨가 멀쩡한 것은 이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그는 "어뢰폭발 때 발생하는 버블 내 화염의 고온상태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며 "버블이 단열 팽창하면서 급격히 온도가 낮아지고 폭발 후 0.05초 후에는 도장면에 열손상을 일으킬 수도 없는 약 130℃의 낮은 온도로 급속히 냉각되고 0.1초가 지나면 28℃까지 내려간다"고 했다.

관련기사



송 교수는 "이 때문에 화염의 충격파에 직접 노출되는 디스크 전면의 온도라고 해도 기껏 5.5℃를 넘지 않게 된다"며 "1번 글씨가 쓰인 디스크 뒷면의 온도는 바닷물 온도인 3℃보다 0.1℃도 상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송 교수는 "극단적인 경우라고 해도 어뢰추진부의 온도는 기껏 20℃ 이내로 상승해 페인트 혹은 그 위의 글씨가 열손상을 입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했다.

송 교수는 브리핑에 앞서 기자들에게 "시중에 떠돌아다니는 계산이 전혀 맞지 않아 순전히 혼자서 계산해 봤다"면서 "컴퓨터로 하면 되는 작업이었기 때문에 돈도 얼마 안 들었고 특히 어떤 청탁이나 지원을 받고 이 일을 한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윤덕용 합조단 공동 단장은 지난 6월 국방부 대회의실에서 3개 언론단체를 상대로 가진 설명회에서 어뢰 폭발에도 잉크가 남아 있는 이유에 대해서 "어뢰추진체의 윤활유도 타지 않고 프로펠러 페인트도 남아 있었다"며 "어뢰추진체가 높은 온도로 가열됐다면 윤활유가 먼저 탔을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