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종편 막말·선정성 심각

개국 이래 법적제재 84건… JTBC 26건으로 가장 많아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전문채널의 막말, 선정성 방송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100건에 달하는 법적제재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강동원(무소속) 의원은 15일 방송통신위원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종편 채널의 막말ㆍ선정성 방송이 심각해지는 추세"라며 "청소년 등 시청자에게 해악이 커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종편채널은 2011년 개국 이래 84건, 보도전문채널은 2008년 이후 16건 등 총 100건의 법적제재를 받았다. 특히 종편채널은 2년 동안 84건의 법적제재를 받아 5년 7개월 동안 총 16건의 법적제재를 받은 보도전문채널보다도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회사별로는 JTBC가 총 26건으로 가장 많았고 채널A가 23건, TV조선이 18건, MBN이 17건 등의 순이었다. 제재 내용으로는 부적합한 방송으로 인한 주의와 경고가 각각 36건, 33건이었고 중징계에 해당하는 방송프로그램 관계자에 대한 징계 및 경고는 12건, 시청자에 대한 사과는 2건, 프로그램 중지 및 경고는 1건 등이었다. 특히 채널A는 중징계로 인한 법적제재가 총 8건에 달해 TV조선(2건), JTBC(3건), MBN(2건) 보다 많았다.

관련기사



강 의원은 "연예오락은 물론 보도교양 프로그램에서도 낯뜨겁고 민망한 막말방송과 선정성 내용이 방송되고 있다"며 "종편에 대한 제재 횟수도 올해 7월말까지 42건으로 작년의 총 제재 건수에 육박하는 등 부적절한 방송이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이 같은 방송이 계속되는데도 방통위는 주의와 경고 등 가벼운 제재로 일관해 종편채널이 낮은 시청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무리한 방송을 계속하고 있다"며 "방통위는 종편채널 재심사 과정에서 시청자에 대한 사과와 프로그램 중지와 같은 무거운 법적제재를 고려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